earticle

논문검색

남사당놀이의 교수ㆍ학습 내용 연구 - 버나놀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Namsadangnori - Focused on the Beonanori -

정미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국악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2018.08 pp.153-202

doi:10.31177/SSKME.2018.12.2.0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amsadangnori is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composed of six sections including pungmulnori, beona, salpan, eoreum, deotboeggi, and deolmi. Although each sec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arts combined by songs(or binary), wordplay, music, and theatres as well as dancing moves, these characteristics tend to be decreased these day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roaches to finding the authentic features of Namsadangnori as a popular culture, and experiencing the performance for the purpose. Firstly, sinc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Korean high schoolers, 󰡔Music󰡕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o explain Namsadangnori under the themes of ‘the history of Korean music’ and ‘the music of the sadangpae’ in only two publishers and to shortly refer it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related to the area of daily living in the others. Also, the explanation or photos of Namsadangnori was not enough. Secondly, this study selec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s the followings: singing the songs, playing instruments, and experiencing the dance moves, wordplay, and the performance used in beonanori for the area of expression and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each section for the area of appreciation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astl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elected contents and activities in , and developed the educational materials used in music classes. Moreover, the method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related with Korean literature and history were established. Since the study presented the approaches to experiencing Namsadangnori in general, the author hopes that these studies and classes become more active.

한국어

남사당놀이는 풍물(놀이), 버나, 살판, 어름, 덧뵈기, 덜미 등 여섯 과장이 주를 이루는 연희이다. 각 과장에 따라 기예뿐 아니라 노래, 재담, 악기 연주, 연극 등이 어우러진 종합예술의 성격을 지녔으나, 근래에는 이러한 성격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아있는 민중 문화로서 남사당놀이의 본 모습 찾기와 놀이판의 체험이라는 목적 아래, 남사당놀이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을 고등학생으로 정하고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검토한 결과, 교과서의 남사당놀이를 ‘한국음악사’와 ‘사당패 음악’이라는 주제 아래에서 제시한 두 출판사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생활화 영역과 연결한 ‘인류무형문화유산’과 관련하여 언급된 내용이었다. 또한 그에 관한 설명이나 사진 등의 자료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서 감상 영역의 내용으로는 남사당놀이의 각 과장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내용을, 표현 영역은 버나놀이를 중심으로 노래, 악기 연주, 사위, 재담, 놀이판 등을 체험하는 내용 등의 교수․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고안된 교수․학습 내용 및 활동을 <예시>로 상세화하고 교수․학습에 활용될 수 있는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문학과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과 연계한 통합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사당놀이를 총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남사당놀이를 활용한 연구와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음악 교과서 검토 및 교육과정의 교수ㆍ학습 요소 추출
 Ⅲ. 교수ㆍ학습 내용 구성의 실제
 Ⅳ.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부록-[수업자료]

저자정보

  • 정미영 Jeong, Mi-Young.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