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ession_2 (좌장 : 라남용, (주)RANA 생태연구소)

쿠터속(Genus Pseudemys) 거북의 국내 서식 및 서식지 유형 분석

원문정보

Domestic habitat and habitat type analysis of Genus Pseudemys in Korea

김수환, 김현맥, 백혜준, 이중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최근 우리나라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에 대해 국가 간 거래가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애완동물의 유기 등 외래생물로 인한 생태계의 문제가 다양한 국가에서 보고 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거북류 는 친숙한 동물로 어린개체일 때 애완동물로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성장 함에 따라 사육비용이 증가하고, 관리의 어려움으로 자연에 유기하는 사례가 늘어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외래거북인 붉은귀거북속 거북류가 애완동물로 키워지다가 자연생태계에 방류되어 심각한 생태적 교란을 야기하여, 환경부에서는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붉은귀거북속의 수입과 매매가 금지되면서 쿠터속 거북 류가 대량으로 판매되고 있다. 쿠터속 거북은 미국 남동부 및 멕시코 동북부일대에 서식하는 늪거북류로 7종 3아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리버쿠터 (P. concinna), 페닌슐라쿠터(P. peninsularis), 플로리다레드벨리쿠터(P. nelsoni)가 흔히 수입되었으며, 쿠터속 거북류의 서식현황 연구에서 3종 모두 확인되었다. 조사는 시 민들의 이용이 많은 생태공원과 저수지 등 전국을 대상으로 쌍안경과 디지털카메라 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전역에서 쿠터속 거북이 서식함을 확인 하였으며, 다양한 서식지 유형을 보이고 있었다. 늪거북류의 특성상 확인된 것 보다 더욱 많은 수 개체가 서식할 것으로 예상되며, 자연에 유입된 개체군이 안정적으로 적응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쿠터속 거북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생태계 영향과 교란에 대해 파악하여야 한다.

저자정보

  • 김수환 Su-Hwan Kim.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김현맥 Hyun-Mac Kim.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백혜준 Hae-Jun Baek.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이중효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