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学習者の丁寧体談話における普通体の使用条件 - 中国語母語話者の談話能力習得の観点を中心に -

원문정보

The use of plain form in Japanese Learners’ Formal Speech :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李吉鎔, 張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first encounter situations, Japanese speakers usually choose the polite form as the basis for their conversation. In the case of Japanese learners, however, it is often observed the use of plain form in these situations. This research analyzes the use of plain form in speech of 90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are Korean, English and Chinese produced in first encounter situations. All the speeches were collected from the KY corpus. In this article, we will show some of the results concerning the Chinese learners. Two main points were considered in the analysis of plain form in the learners’ speech: (a) interference of Chinese modal particles; (b) acquisition of speech organization competence. As for (a), we must mention that the so called “modal particles” in Chinese have similar functions to the sentence-final particles in Japanese, both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face-to-face interaction. In Chinese language, there i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sentence-final particles and interjection particles. This may partially explain the use of ‘yo’ with functions other than this particle’s original constraints observed in Japanese speakers’ speech. Also, the subjects used ‘na’, ‘ne’ and ‘yo’ as a strategy to display affinity and to soften the tone of the speech. (b) It was observed a progression from listing of simple sentences toward production of complex sentences. While the polite form was used as a marker of speech organization, plain form was used as a marker of topic organization. The Chinese subjects tended to use the plain form while talking about the same conversation topic and the polite form to bring the conversation of this topic to an end.

한국어

일본어에서는 처음 만나는 사람과 이야기할 때 일반적으로 정중체가 선택된다. 그러나 일본어 학습자의 담화를 관찰해보면 처음 만나는 두 사람 간의 대화에서 보통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 한국어・영어・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 90명의 담화자료를 대상으로 정중체를 기조로 하는 첫대면 양자 간 대화에 나타나는 보통체의 사용 조건을 분석했다. 먼저 보통체의 사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중국인 학습자의 보통체에 종조사가 부가된 문장이 많은 점, 종조사 ‘요’의 사용도 많으며 이는 특히 동사술어문에 많은 점 등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a)중국어 어기조사의 용법의 활용, (b)담화구성능력의 습득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즉,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간투조사 및 종조사의 ‘나’, ‘네’, ‘요’ 등은 중국어의 어기조사의 용법을 활용한 것이며, 친근감을 표시하거나 어조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상의 전략적인 용법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에서 보통체는 화제의 지속을 나타내고 정중체는 화제의 종결을 나타내는 담화표지로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先行硏究の成果と課題
 3. 分析資料の槪要
 4. 丁寧体談話における普通体の使用實熊
  4.1 普通体使用の全体像
  4.2 普通体多用者3人の文末表現の諸相
 5. 中國語母語話者の談話構成ストラテヅ一
  5.1 中國語の語氣助詞の用法の活用
  5.2 談話構成能力の習得戰略
 6. おわりに
 參考文獻
 <국문요지>

저자정보

  • 李吉鎔 이길용. 중앙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문화학부 교수
  • 張倩 장천. 중앙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과정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