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国延辺地域の朝鮮族高年層日本語における無声破裂音

원문정보

Unvoiced plosive sound of Japanese spoken by Korean-Chinese elders in China Yanbian region

黃永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as analyzed for retention mechanism of unvoiced plosive sound in L2 retention period through the actual use situation of ethnic elder Koreans speaker of China Yanbian region appearing to learn the Japanese under the colonial education environment. Discourse research for four informants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since 1945) were carried to the subject of the sentence reading investigation while results combined. They are different to the contact form, contact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scribing in detail the actual conditions that held in the sound environment and language external factors that are relevan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Korean colonial Japanese data, the followings were found. (1)(Voiced/Unvoiced) Plosive sound of the distinct ability of contact to Japanese before 1945 has been preserved by the continuous phase, depending on the current speaker of the Japanese language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voiced plosive sound of Japanese appear much more preserved in Korea as L2 in L1 environment than the area being preserved as L2 in L3 environment. (2)Unvoiced/Fixed vocal sound of maintenance and the intermediate language can be used when viewed from the aspect and accuracy. The environmentally sound ‘in word [t]→[d] voiced’, China has more less the voiced sound and most often in the words of native language types. (3)Having tentative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has made the Japanese voice did not ‘silent voiced plosive’ focused on the lowe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group due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not meta-language been in fossilized state.

한국어

본고는 중국연변지역의 조선족노년층화자가 1945년 이전의 일본식민지시기에 일본어교육을 통해 습득한 일본어에 나타나는 음성영역(특히, 무성파열음)의 사용실태를 통해 70여 년 간 유지되어 온 동아시아지역 식민지일본어의 유성음ㆍ무성음의 보존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광복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형태ㆍ접촉기간이 다르고 광복 이후에는 일본어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피조사자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담화조사와 (읽기 방식의)조사문조사의 결과를 대조하면서 음환경 및 어종별로 그 보존 실태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관련한 언어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한국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파열음의 구별능력은 1945년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도와 현재의 일본어능력에 따라 화자별로 연속성을 띠면서 보존되고 있다. 한편, 일본어가 제3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중국지역보다 제1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한국지역에서 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다. (2)무성음화와 고착된 유성음화는 거의 보이지 않으며 사용수와 정확도에서 볼 때 중간언어적인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 음환경면에서는 ‘語中[t]→[d]의 유성음화’가 두 지역 모두 현저하지만, 특수음 다음에는 유성음화현상이 적게 나타난다. 그리고 어종별로는 고유어에서 가장 많다. (3)(잠정적인 결론이지만) 식민지일본어는 메타언어에 의한 일본어음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당시의 일본어학습환경에 기인해 일본어능력이 낮은 층을 중심으로 ‘무성파열음의 유성음화’가 화석화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と問題の所在
 3. 韓国語と日本語の破裂音
 4. 調査の概要
  4.1. 音声データ
  4.2 対照データ
 5. 調査結果および分析
  5.1. 破裂音の使用実態(調査文調査)
  5.2. 破裂音の使用実態(談話調査)
  5.3. 音環境別の特徴
  5.4. 語種別の特徴
  5.5. 話者の属性を通してみる言語外的要因
 6. お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黃永熙 황영희. 漢陽サイバー大学 日本語学科 助教授、日本語教育ㆍ社会言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