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예술교육과 교육예술의 의미와 과제

원문정보

Meaning and Assignment of Art Education and Education Art

김종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the view of art should change. The method of study wa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relevant experts along with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art. Second, changes in the way of expression and concepts of art education are required, and an attitude of active acceptance of digital art education is required. Third, by accepting the idea of education and art, w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arts and we need to promote them. Fourth, the fusion and complexity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new concepts in educational and arts requires a process of deep reflection at this point. The trend of 21C is moving away from stereotypes, where fusion and complex studies are becoming mainstream. In the art sector, the arts sector of various genres needs to be expanded from conception so that the views on art education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other areas as well as education. This will allow them to expand their artistic horizons and move forward to create new categories of art. The goal was to find the starting point from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art.

한국어

이 연구는 예술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도 예술을 보는 시각은 변화되어야 한다는 명제아래 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교육예술에 대한 논리적 주장으로 예술에 대한 융·복합을 통한 범주의 확대를 가져 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 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술에 대한 개념의 확장과 더불어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한 표현방식과 개념의 변화가 요구되며, 디지털 예술교육에 대한 적극적 수용의 태도를 필요로 한다. 셋째, 교육예술에 대한 사고의 수용을 통해 예술의 영역확대를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도 요청된다. 넷째, 교육예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인식변화에 대해 융·복합적 흐름이 강조되고 이는 현 시점에서 심도 있는 성찰을 해 보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21C의 흐름은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융·복합적 학문이 대세로 나아가고 있다. 예술분야에서도 기존 의 예술교육에 대한 시각을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예술을 병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의 예술 영역을 개념에서부터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예술 영역을 확대하고, 나아가 새로운 범주 의 예술을 창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출발점을 교육예술의 개념 인식에서 부터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내용
  1.4 연구 방법
 Ⅱ. 예술교육에 대한 배경과 변천과정
  2.1.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한 의미
  2.2. 예술교육의 변천
 Ⅲ. 예술교육과 교육예술의 차이
  3.1 예술교육에 대한 문화적 이해
  3.2 교육예술의 인식에 대한 변천
 Ⅳ. 예술에 대한 성찰과 교육예술에 대한 논의
  4.1 예술에 대한 성찰
  4.2 교육예술에 대한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5.1 결론
  5.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두 Kim, Jong-Doo. 서원대학교 교육학과 (Seowon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