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분양주택의 수요자특성이 주거만족도 및 투자가치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Consumers and Investment Value of Acquire Unsold Houses

이광균, 박혜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rst, Consumers with High income/Return on investment recognize real estate marketing as most important factor. However, satisfaction is on third-rank. There is a relative difference. Second, the brand, equipments and facilities were relatively well built. As these are considered to be a essential factors in implementing unsold apartments marketing for relevant type, Comfort with eco-friendly, Convenience of the plant and equipment,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Interior of the housing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homebuilding industry. Finally, In the case of dual-income/rooki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dewan to the top priority on the ‘policies and system’ than any other consumer types.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marketing strategy, this sector should consider strategies such as the ‘financial assistance, deregulation, tax breaks.’ first. because dual-income/rookie consumers have a relatively economical disadvantage. Living environment was considered as marginal. However this sector was deemed sufficient due to the high satisfaction of consumers. The importance is rated number two and satisfaction is rated on a third rank. It means that strategic complements to the real estate marketing is required, especially for plan and quality of marketing.

한국어

첫째, 고소득/투자수익 미분양 주택의 수요자의 경우 주택의 분양 목적이 실 거주보다 투자에 가깝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격할인’이 제일 높은 부분효용 값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자녀동거/중년층 수요자의 해석 결과이다. 이는 일반 분양아파트와 구분되는 특성으로 미분양 주택인 만큼 살아보고 구매를 결정하거나 향후 계약조건이 보다 좋게 변경될 경우 이를 소급 적용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전은 미분양 주택을 선택하는데 추가로 기회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맞벌이/신혼부부 수요자 특성이다. 가격할인은 가구의 직업이 임금 근로자라는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미분양 주택의 분양의 경우 가격할인을 했을 때 일반 주택의 분양보다 경제적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미분양 특전도 가구주의 연령이 20~39세로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연령이 라이프 스타일로 보면 대부분 주택구입 시기이므로 에프터 리빙제나 계약조건 보장제 등을 통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가격으로 살아 볼 수 있다는 것에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홍보 및 고객관리’에 대한 부분은 지속적인 홍보와 마케팅, 고객에 대한 관리 등으로 포기할 수 있는 선호 요인으로 판단된다.

목차

< Abstract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수요자의 주거만족도 선행연구
  2.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 선행연구
  3. 기존 연구의 차별성
 Ⅲ. 연구설계
  1. 연구의 틀
  2. 변수의 선정
  3. PLS 구조방정식 결과의 해석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1. 고소득/투자수익 수요자 특성의 영향구조 분석
  2. 자녀동거/중년층 수요자 특성의 영향구조 분석
 Ⅴ. 결론
 < 국문요약 >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광균 Lee, Kwang-Kyun.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공학박사
  • 박혜웅 Park, Hye-Woong. 성결대학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