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李仁老 題畵詩의 형상화 방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ainting poetry of Lee Inro

이인로 제화시의 형상화 방식

박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focusing on the painting poetry of Lee Inro(李仁老). As a work of early period of Korean painting poetry, Lee Inro's painting poetry shows one aspect of how to use painting as poetic material and to form poetry. All 10 pieces of painting poetry are written in the form of《SongJeokpalkyungdo(宋迪八景圖)》,《Haenghwaguyokdo(杏花鸜鵒圖)》and bamboo paintings respectively. A total of 8 pieces of painting poetry, which is based on the《SongJeokpalkyungdo》, depict a symbolic spatial image of Sosang palkyung(瀟湘八景). At this time, It mainly use the method of authentic precedent(典故), and result in expanding the outline of poem through the poetry and history authentic precedent. In and , Lee Inro describes his appreciation and evaluation of the paintings, drawing the guyok-bird story, Su Dongpo(蘇東坡) and Wen Tong(文同). Lee Inro's painting poetry shows the function as Yuunhwa(有韻畵) in compressed language form.

한국어

이 논문은 이인로의 제화시를 대상으로 그 형상화 방식을 분석하였다. 한국 제화시 중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서 이인로의 제화시는 그림을 시적 제재로 어떻게 활용해 시로 형상화하는지 그 일면을 보여준다. 총 10수의 제화시는 각각《송적팔경도》와《행화구욕도》, 대나무 그림을 보고 지은 시이다.《송적팔경도》를 소재로 한 제화시는 총 8수로 각 ‘소상팔경’이라는 공간 이미지를 묘사한다. 이때 공간의 표상화를 통해 화면 속 소상팔경이 내포하는 의미와 상징을 환기한다. 또한 이인로는 주로 전고(典故)의 방법을 사용[用典]하는데, 시구전고와 역사전고를 통해 시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행화구욕도>와 <대나무 그려진 병풍에 쓰다>에서도 구욕새와 관련된 고사와 묵죽의 대가로 알려진 ‘소동파’와 ‘문동’을 끌어와 화면에 대한 자신의 감상과 평가를 서술한다. “유운화(有韻畵)”로서의 기능을 이인로의 제화시는 압축된 언어 형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공간의 表象化를 통한 畵面 환기
 3. 압축적 典故를 통한 畵意 확장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혜영 Park, Hae-young.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