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추 및 우울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compassion,Rumination, and Depression of Children

김민지, 홍상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stress, self-compassion, rumination and depression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latent profile analysis method.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6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Mediation effect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First, there are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the all four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Stres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Stress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and depression. And ruminatio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simple mediation effect and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ird, latent profile analysis drew the four latent profiles named self-compassion, normal, average, rumination, high-risk typ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depression. Depression was lowest in self-compassion type(low stress, low rumination, high self-compassion), whereas it was highest in the high-risk type(high stress, high rumination, low self-compa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compassion, rumination, and depression in an integrated way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latent profile analysis method. Lastly, this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한국어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하여 아동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추 및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67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는 반추, 우울과는 정적 상관,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자비는 반추, 우울과 부적 상관, 반추는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추를 잠재프로파일 분석한 결과, 4개의 잠재프로파일(자기자비, 평균, 반추, 고위험 유형)을 도출하였고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우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우울 점수는 스트레스, 반추 수준이 낮고, 자기자비 수준이 높은 자기자비 유형에서 가장 낮고, 스트레스, 반추 수준이 높고, 자기자비 수준이 낮은 고위험 유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아동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추, 우울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도구
  자료의 처리와 분석
 연구결과
  변인 간 상관과 기술통계치
  매개효과
  잠재프로파일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지 Min-Ji, KIM. 동진초등학교
  • 홍상황 Sang-Hwang, Hong.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