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Emplo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eacher Efficacy
초록
영어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ain issues in Korean education policy, teacher quality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ies for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In a related manner, this study's aim was to clarif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ositive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through employ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teacher efficacy. By utilizing the 2016 Attitude Survey of a Multicultural Society, a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thoughts of 3,970 teachers from 179 schools. First, the mastery experiences of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eachers' positive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whereas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positive vicarious experiences from the teachers' colleagues regarding a multicultural socie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teacher's recognition of being able to appropriately advise multicultural students. Finally, the school environment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determining the teachers'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Policy implications are then discussed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한국어
다문화교육이 정책적으로 강조되면서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 논의 중 본 연구는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어려움 없이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긍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교사효능감의 이론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효능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교사의 성취 및 대리 경험, 학교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제고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6 다문화사회 관련 의식조사 중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79개교의 3,9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성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 담임 경험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수강이나 현직연수 프로그램 이수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대리 경험으로서 가정한 동료 교사들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학교 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교의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 수행과 학교 문화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관련 교사교육과 학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
2. 교사의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인식과 교사효능감 이론
Ⅲ. 연구방법
1. 데이터 및 분석대상
2. 변수 설명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