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조사대상 및 연구방법
3. 한국과 일본의 국어과, 국어교과서
3-1 국어교과서의 집필자 분석
3-2 국어과의 시수비중
3-3 국어교과서 ‘읽기’ 의 양적 비교
3-4 실물교재(동화책 등) 의 활용여부
4. 삽화의 비중 및 구성
4-1 삽화의 비중
4-2 등장인물의 성비
4-3 삽화의 중심인물
4-4 동식물의 친숙도
5. 삽화에 나타난 성차 및 성역할
5-1 어른들의 직업
5-2 성 고정관념
5-3 삽화에 나타난 가족구성
5-4 삽화에 나타난 민족, 다문화(이문화)
6. 결론 및 앞으로의 과제
<참고문헌>
2. 조사대상 및 연구방법
3. 한국과 일본의 국어과, 국어교과서
3-1 국어교과서의 집필자 분석
3-2 국어과의 시수비중
3-3 국어교과서 ‘읽기’ 의 양적 비교
3-4 실물교재(동화책 등) 의 활용여부
4. 삽화의 비중 및 구성
4-1 삽화의 비중
4-2 등장인물의 성비
4-3 삽화의 중심인물
4-4 동식물의 친숙도
5. 삽화에 나타난 성차 및 성역할
5-1 어른들의 직업
5-2 성 고정관념
5-3 삽화에 나타난 가족구성
5-4 삽화에 나타난 민족, 다문화(이문화)
6. 결론 및 앞으로의 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