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Clinical Studies in Music Therapy Conducted with Adolescents: Focusing on Essential Emotional Behavioral Variables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therapeutic framework and approach of Korean music therapy studies conducted with adolescents based on essential dependent variables proposed by McFerran (2010). For this, a total of fourteen clinical trials and case studies published in professional journals index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4 essential therapeutic variables and theoretical model for working with adolescents identified by McFerran(201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variables found in the studies could be categorized into one of four main variables, which were Resiliency, Competency, Connectedness, and Identity Formation where the order represents the frequency of corresponding articles in this analysis. In terms of the consistency with McFerran’s theoretical model,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 variable also utilized behavioral stance. In terms of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studies related to ‘Connectedness’ more often used song-writing based methods facilitating interactive and cooperative work on creating musical produc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y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 adolescents can be analyzed and explained by the analytic model suggested by McFerran as a way of making valid connections and finding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mong existing literatur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청소년 대상 정서행동문제 관련 음악중재 연구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출된 핵심 변인에 따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치료 철학과 중재 방법 등의 중재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국내 전문 학술지 게재 논문 총 14편을 선정하고, 선행연구(McFerran, 2010)를 통해 추출된 정체성, 탄력성, 유능감 및 관계성을 핵심 치료 변인으로 설정하여 국내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연구의 치료 철학, 중재 방법 및 논거, 사용 음악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청소년 대상 음악중재 연구에서 다뤄진 대다수의 정서행동관련 변인은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된 네 가지 핵심 변인으로 분류 및 분석될 수 있었으며, 치료 변인의 비중은 탄력성, 유능감, 관계성, 정체성 순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 관련 변인별 치료 철학과 중재 내용을 살펴본 결과, 유능감 관련 음악중재의 경우 행동주의적 접근을 기반으로 연주 경험을 통한 성공 경험에 목표를 둔 구조화된 연주 활동을 진행하는 경향이 관찰 되었다. 관계성 관련 중재의 경우,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생태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타인과 협력하여 음악적 결과물을 만드는데 목적을 둔 노래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관련 문헌을 새로운 관점에서 심층 분석하여 이를 통해 청소년 대상 중재연구의 치료 철학과 주요 접근을 도출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중재 관련 정보 및 고려사항과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자료 검색 과정
2. 연구 포함 기준
3. 분석 기준 및 항목
4. 분석 절차
Ⅲ. 결과
1. 연구의 전반적 현황
2. 종속 변인
3. 치료 철학 및 음악중재 내용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