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홀리스틱 관점에서 본 협동 의사소통 방향 이해

원문정보

Understanding Communication Direc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Classes from the Holistic Standpoint

한상철, 조한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communication direc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classes from the holistic standpoint through ethnography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grade 4 male students in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Planned 6-times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the 6th class, in which bumping system is working, was primarily observed. To collect data, video capture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munication direction analysis. As result, first, communication before the game was mostly made between middle- level students and upper-level students within the observed group. However, lower-level students would not actively join to the communication. This result might be due to the students’ lack of confidence toward the class. Second, after ranking group game, the observed group students were shown as cooperative and cohesive each other toward opposite team’s jeering. The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at this moment was multi-direction regardless of performance level, making cooperative atmosphere higher. Third, during the bumping system was being made, middle- level students mostly communicated with upper-level and middle-level students. This means that middle-level students played a leading role in ranking adjustment, and upper and lower-level students were actively cooperative to it.

한국어

이 연구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홀리스틱 관점에서 본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에서 의사소통 방향을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영등포구에 소재한 Y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4명을 선정하였다. 협동학습 수업은 6차시의 수업을 계획하여 그중 Bumping System이 작동하는 여섯 번째 차시의 수업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동영상 촬영, 참여 관찰, 심층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대화 방향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홀리스틱 관계성 측면에서 대화방향을 이해하게 되었다. 첫째, 게임 전 원집단에서 대화는 주로 중수준과 상수준 학생과의 대화가 주로 이루어졌다. 하수준 학생은 아직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는 아직 수업에 자신감의 결여로 여겨졌다. 둘째, 순위 집단 게임 후 상대팀의 야유에 대해 원집단 학생들이 협력하고 응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때 대화의 방향은 체육 기능 수준과 관계없이 다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협력의 분위기가 높아져 갔다. 셋째, 순위 조정(bumping system)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중 수준 학생이 상, 하 수준의 학생과 대화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중수준 학생이 중간적 입장에서 순위 조율과 조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고, 상, 하수준 학생들도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환경 및 연구자 이해
  2. 연구 내용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자료의 진실성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게임 전: 중수준과 상수준 중심
  2. 게임 후: 야유와 응집의 대화
  3. Bumping System 진행 후: 중수준 중심 조율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상철 Sangcheol Han. 서울영등포초등학교 교사
  • 조한무 Hanmoo Cho.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