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교개혁의 핵심담론을 통해서 본 오늘의 교육개혁

원문정보

Today's educational reform based on core discourses of the Reformation

양금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ation and Educational Reforms from the main discourses of the Reformation, namely, "righteousness by faith"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Two Governments theor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form today by looking at the reformspirit which is behind the Reformation. In the first part, "relations between the core discourses of the Reformation and educational reform", this article found the following: The discourse of righteousness by faith was a discourse that required faith accompanied by appropriate knowledge, and as a result rediscover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e discours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has rediscovered the individual as 'the place of revelation of God,' thereby declaring the indispensability of educating them to be priest. The Two Governments was the discourse that ensured the publicity of education by rediscovering the world as a place of God's reign, and further discovered that not only the church, but also the family, the country, and the whole society became ecosystems of Christian education. From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insight has been obtained, although the Reformation has not offered a new educational theory systematically, it has laid the groundwork for a new educational paradigm by newly discovering the decisive factors necessary for the fundamental framework and theoretical frame of education. The Reformation has rediscovered the 'human', the concept of 'education' itself, and the world as the 'place where education takes place', thereby form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ge. In the second part, it has discovered core reforming spirits behind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can give direction to today's educational reform. These are 'wholeness', 'publicness', 'educational ecosystem reform', and 'discovery of alternative metaphors'. The 'wholeness' makes us see the problem of separation phenomena, namely sepration of the church and family and school, and of faith and life, and of church and the world in Korean church and also discover that restoration of wholeness is an important task of education reform today. The 'publicness' make us see so called 'church centered phenomen' in Korean church and also the necessity to restore the publicness for educational reform. 'Educational ecosystem reform' challenges Korean church to revive the Christian education ecosystem, overcoming schooling educational system and building up a collapsed Christian families, and also reestablishing a Christian school identity. Lastly alternative metaphors of the Reformation challenges us to read this age and present alternative metaphors read people and society today.

한국어

이 논문은 종교개혁과 교육개혁의 관계를 종교개혁의 핵심담론인 ‘이신칭의’, ‘만인제사장’, 그리고 ‘두 정부론’으로부터 살펴보고, 그들 뒤에 들어 있는 개혁정신에 오늘의 교육을 비추어 봄으로써 오늘의 교육개혁의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첫 번째 부분 “종교개혁의 핵심담론들과 교육개혁의 관계”에서 본고는먼저 ‘이신칭의’ 담론이 그 자체로 ‘바른 앎이 동반되는 믿음’을 요청하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육의 필요성을 재발견하는 담론이었다는 것, ‘만인 제사장’ 담론은 성도 한사람 한사람을, 즉 개인을 ‘하나님의 계시의 자리’로 재발견함으로써 그들을 제사장으로 세우는 교육의 필수불가결함을 천명한담론이었다는 것, 그리고 ‘두 정부론’은 세상을 하나님의 통치의 자리로 재발견하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공공성을 담보하고, 더 나아가 교회 뿐만 아니라 가정과 국가와 사회 전체가 기독교교육의 생태계가 됨을 발견하게 하는 담론이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교개혁의 핵심담론에 대한 고찰로부터 본고는 종교개혁이 체계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교육이론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는 없지만, 교육의 근본적 테두리와 이론적 틀에 필요한 결정적 요소들을 새롭게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형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통찰을 얻었다. 즉 종교개혁은 교육의 대상인 ‘인간’의 재발견, 그리고 ‘교육’개념 자체의 재발견, 그리고 ‘교육이 이루어지는 자리’인 세상을 재발견함으로써 그 이전의 시대인 중세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형성하도록 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번째 부분인 “종교개혁의 개혁정신에 비추어 본 오늘의 교육개혁의과제”에서 본고는 종교개혁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부터 오늘의 교육개혁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핵심적 개혁정신들을 발견하였는바, 그것은‘통전성’, ‘공공성’, ‘교육생태계 개혁’, 그리고 ‘대안적 은유의 발견’이었다. ‘통전성’에 오늘날 한국교회의 문제인 “분리현상”을 비추어 보게 하였는바, 교회와 가정과 학교의 분리, 신앙과 삶의 분리, 교회와 세상의 분리... 등을살펴보았고, 통전성의 회복이야말로 오늘날 교육개혁의 중요한 과제임을발견하게 였다. ‘공공성’은 한국교회의 ‘교회중심주의’를 비추어보게 하였고, 공공성이야말로 한국교회가 회복해야 할 교육개혁의 과제라고 하는 것을발견하게 하였다. ‘교육생태개 개혁’은 오늘의 한국교회로 하여금 교회학교중심의 학교식 교육을 넘어서서, 무너지는 기독교 가정을 세우고, 또한 기독교 학교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 전체적인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다시 살려야 한다는 개혁과제에 대한 도전을 주었다. 종교개혁이 시대를 읽고 ‘대안적교육개념을 제시’한 것은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교육이 한국의 시대를 읽고사람들과 사회를 이끄는 대안적 은유를 제시할 것을 도전한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종교개혁의 핵심담론들과 교육개혁의 관계
 III. 종교개혁의 개혁정신에 비추어 본 오늘의 교육개혁의 과제
 IV.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금희 Kum Hee Yang.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기독교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