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학기초>와 <기계학습> 교과 사례를 통해 살펴 본 K-MOOC의 전략적인 운영 방법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K-MOOC’s Strategic Management Method through Two Case Studies : <Mathematical fundamentals for data Science> & <Machine learning for data Science>

김성희, 김규태, 김지연, 박주형, 정진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K-MOOC education through two case studies of K-MOOC. Althoug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orm to the online one, the critical subjects are still the learners and are motivated by their own learning, not only by advanced technologies. In terms of current technology, K-MOOC’s learning environment can be accessed by students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provided that they are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MOOC production & operation team of Korea University’s College of Engineering produced and operated two courses—the “Mathematical Foundation for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for Data Science”—over the course of seven months, from July 2017 to January 2018. The new strategies of K-MOOC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formal topographical map, requiring continuous quality assurance for the course. Second, with a topographic map, good communication is needed between learners, teachers, and operator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eet with others in online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mmunities that can communicate with learners online. Thir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perated by K-MOOC should be linked with the real life of the learners through the integrated topographic map.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a suitable curriculum for K-MOOC and to look for active pedagog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의 교과 운영 사례를 통해, K-MOOC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교육환경이 전통적인 양식에서 온라인 기반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교육과 관련 해서 중요한 주체는 학습자이며, 학습자 개인의 학습동기에 있다. 과학기술의 측면에서 보면, K-MOOC의 학습환경은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가 원하면 언제·어디서나 접속해서 학습을 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K-MOOC 운영팀이 수학기초와 기계학습 교과를 통해 얻은 K-MOOC 운영의 새로운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인 지형도로, 강좌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보증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적인 지형도로, 학습자들과 교수자들 및 운영자들 사이에 바람직한 소통이 필요하다. 비록 온라인 환경에 학습자들과 대면하기는 어렵지만, 온라인에서 학습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통합적인 지형도로 K-MOOC이 운영하는 교과목의 내용이 학습자들의 현실적인 삶과 연계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K-MOOC에 적합한 교육과정 구축과 적극적인 교수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K-MOOC에 접속한 학습자의 학습동기
 3. K-Mooc의 교과 운영 : <수학기초>와 <기계학습>
 4. K-MOOC의 전략적인 교과 운영의 방법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희 Kim, Seong Hee.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및 과학기술학연구소
  • 김규태 Kim, Gyu Tae.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
  • 김지연 Kim, Ji Yeon.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및 과학기술학연구소
  • 박주형 Park, Ju Hyung.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 정진택 Chung, Jin Taek.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