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성취목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Achievement Goal, and Life Satisfaction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문은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achievement goal, and life satisfaction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ests of social support scale, achievement goal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331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 universities in Gangwon, Chungnam,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earch model is appropriate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 based on the valida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exogenous (family’s social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two endogenous (mastery goal, performance goal)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via six pathways, and the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their life satisfaction was approximately 43%. Also, their mastery and performance goal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variables (family’s and friend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ir mastery goal had more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did their performance goal. And their family’s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chievement goals.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성취목표(숙달목표, 수행목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 충남, 경기의 3개 대학교 유아교육과 여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성취목표,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를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개의 외생변인(가족․친구의 사회적 지지)과 내생변인(숙달․수행목표)은 6개 경로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4개 예언변인들의 삶의 만족도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43%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과 성취목표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반해,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언변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에서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친구의 사회적 지지에 비해, 그리고 숙달목표는 수행목표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촉진시키는데 성취목표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숙달․수행목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친구의 사회적 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수집 및 분석
 Ⅲ. 연구결과
  1. 기초 분석 자료
  2. 연구문제 1의 결과
  3. 연구문제 2의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은식 Ehun-Shik Moon.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