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업 상황에서의 자기통제 역할과 증진 가능성에 대한 탐색 : 신경과학적 근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Neuroscience Based Review on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Self-Control in School Learning

황매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euroscientific basis that support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self-control. Self-control is a major non-intellectual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t might develop through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well as in the early childhoo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lf-control is the difference in strategies rather than personal traits; the strategy for self-control is the executive function that requires high-order thinking function, and it continues to develop after childhood; the critical period of development of the neural network including the frontal lobe responsible for the executive function is adolescence. The findings of neuroscience research on self-control suggest that enhancing self-control should be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and that it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growth beliefs on self-control of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students.

한국어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를 예언하는 자기통제가 생애 초기만이 아니라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신경과학적 근거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기통제가 학업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 자기통제의 발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기보다는 자기통제에 필요한 전략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가의 차이라는 점, 자기통제에 필요한 주요 전략은 고차원 사고기능을 필요로 하는 실행기능으로 아동기 이후 성인초기까지 계속 발달한다는 점, 실행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을 비롯한 신경망 발달의 중요한 시기가 청소년기라는 점 등을 관련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자기통제에 대한 신경과학적 연구결과는 학교교육이 자기통제 증진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삼아야 함을 시사하고, 자기통제의 증진 가능성에 대한 교사와 학교상담자, 나아가 학생 자신의 신념을 확립하는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학업에서의 자기통제 역할
 전략 사용으로서의 자기통제
  마시멜로 실험을 통한 전략 사용의 발견
  hot/cool 시스템 모델
 자기통제에 관한 신경과학적 접근
  실행기능과 전두엽
  실행기능의 하위 과정과 자기통제
  실행기능과 전두엽의 발달
  자기통제 실패에 관한 강도 모델
 자기통제 증진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매향 Mae Hyang Hwan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