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부적응아동의 모-자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활동중심 미술치료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iveness of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Program for Mother-infant Interaction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제갈선아, 김진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for improving mother-infant interaction on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her mother and the 9year old girl who has a problem with school maladjustment, and it was commissioned through Welfare Center in the A city. We conducted the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program over total 8 times session for 70minutes once a week from Jun.04, 2016 to Jul.23, 2016.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cale of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which was developed by Heathering and Clinggempeel(1992) and was translated by Gyeongjoo Moon(1995) was used. The scale of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used Parent Discipline Behavior(PBD), Expression of Affection(EAF). We also recorded and analyzed the changes of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t every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had an influence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gave positive changes in school adaptation. Second, we confirmed that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process were effective through the observation items of every session process. Therefore, the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whi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t was found that it acted as positive factor to adapt to the school class and activities while finding the sense of stability at the same time.

한국어

이 연구는 모-자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활동중심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학교부적응이 있는 문제로 A시 복지관을 통해 의뢰가 되었고, 만 9세 여아 1명과 그의 모를 대상으로 2016년 6월 4일부터 2016년 7월 23일까지 주 1회, 7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활동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ethering과 Clinggempeel(1992)가 개발한 모-자 상호작용 척도를 문경주(1995)가 번안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모-자 상호작용 척도는 훈육행동(Parent Displine Behavior: PBD), 애정표현(Expression of Affection: EAF)이 사용되었다. 또한 매 회기별 모-자 상호 작용의 변화를 기록ㆍ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의 미술치료가 모-자 상호작용 향상에 영향을 주어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활동중심의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자 상호작용의 변화는 회기별 과정의 관찰항목을 통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활동중심의 미술치료는 모-자 상호작용을 향상 시켰으며, 모-자가 함께 안정감을 찾으면서 학교수업과 활동 등에 적응해 가도록 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프로그램
  4. 행동관찰 및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모-자 상호작용 검사결과
  2. 모-자 상호작용의 회기별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제갈선아 Je Gal, Sun-A. 오산대학교 실용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 김진옥 Kim, Jin-Ock. 청주남자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