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o examine preliminary Korean teachers’ conceptual structure of ‘good Korean class’, this author surveyed 70 students of Korean education at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they had about ‘good Korean clas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is researcher produced the concep map and figured out relative importanc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written below: First, there are total 125 superordinate concepts extracted from preliminary Korean teachers’ concept map about ‘good Korean class’. Categorizing similar concepts as one superordinate concept, this researcher came up with 10 areas. Among the superordinate concepts, the most frequent ones are ‘student-centeredness’, ‘teachers’ qualities’,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interaction’ in order. Second, this author examined the levels of preliminary Korean teachers’ superordinate concepts about ‘good Korean class’ with hierarchy,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particular points, and density. First of all, ‘hierarchy’ i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eachers’ qualities’, and the next are ‘to improve Korean skills’ and ‘student-centeredness’ in order. About ‘the particular points of superordinate concepts, density is found to be high in total 32 concept maps in the order of ‘teachers’ qualities’,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udent-centeredness’ in order. Third, to analyze preliminary Korean teachers’ concept maps about ‘ good Korean class’ centering around subordinate concepts in detail, this author conducted cluster analysis on their statements about ‘good Korean class’. As a result, they are grouped into ‘student-centered Korean class’, ‘Korean class reflecting Korean teachers’ qualities’, ‘Korean class having clear goals for Korean education’, ‘Korean class operated systematically’, ‘Korean class corresponding to life’, and ‘Korean class equipped with favorable class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예비 국어 교사의 개념 구조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경남 소재의 K대학 국어교육과 70명을 대상으로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경험과 이해에 기반 한 개념들을 수집한 뒤, 이를 분석하여 개념도를 산출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국어 교사의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개념도에서 추출한 상위개념은 총 125개이며, 유사한 개념을 하나의 상위개념으로 범주화할 때, 10개의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상위개념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개념은 ‘학생 중심’, ‘교사의 자질’,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상호작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국어 교사의 좋은 국어 수업 개념도에 대한 상위개념의 수준을 위계, 하위개념의 수, 특성점수, 밀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위계’는 ‘교사의 자질’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국어 능력 신장’, ‘학생 중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개념의 특성점수’는 총 32개의 개념도에서 ‘교사의 자질’,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학생 중심’의 순으로 밀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 국어 교사의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개념도를 하위개념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진술문을 군집분석을 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 중심의 국어 수업’, ‘국어 교사로서의 자질이 반영된 국어 수업’, ‘국어 교육의 목표가 분명한 국어 수업’, ‘수업 운영이 체계적인 국어 수업’, ‘삶에 부합하는 국어 수업’, ‘수업 환경을 갖춘 국어 수업’으로 묶을 수 있었다.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3. 자료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예비 국어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상위개념 내용 분석
2. 예비 국어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국어 수업의 유사성ㆍ중요도 분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