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자리 불일치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 일자리 불일치의 개념적 구성과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abou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Job Mismatch for Employees : Focused on Conceptual Composi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Job Mismatch

김충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ong with a serious unemployment crisis, employees' job mismatch has also become another problem in Korea. This study, whose major research targets are current employees after employment, is aimed at developing measures for employment expectation mismatch caused by skill mismatch and difference between employees' expectation about job levels they're looking for and real levels of jobs provided. We also tried to find ou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ose two types of mismatch. Antecedent variables include human capital, job searching,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le consequence variables do containing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sults showed that number of certificates, job-searching duration and job-searching channels among job-seeking factors and work strength, wage level, welfare, job insecurity among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ment expectation mismatch. Besides, both skill mismatch and employment expectation mismatch have a strongly significant a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changing jobs. This study not only tried to grasp our perception with job mismatch, but also provided some implications of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regarding two mismatch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한국어

오늘날 심각한 취업난과 함께 신규 취업자들의 일자리 불일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 취업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수행과 관련된 숙련불일치와 종업원 개인의 취업 시 희망 일자리 수준과 실제 기업제공 수준간의 괴리감의 발생으로 인한 불일치 상태 즉, 취업눈높이 불일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이를 토대로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이들 두 가지 불일치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숙련불일치의 경우 개인의 업무경험, 자격증보유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눈높이 불일치의 경우 직업탐색요인 중 구직기간과 구직경로, 그리고 조직특성 중 업무강도, 임금수준, 복리후생, 고용안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련불일치와 취업눈높이 불일치는 종업원의 내․외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고용초기의 조직구성원들의 일자리 불일치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일자리 불일치 해결을 위한 개인 및 기업차원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목차

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일자리 불일치에 대한 논의 및 가설 설정
  1. 일자리 불일치의 정의 및 구성
  2. 가설 도출 및 연구모형의 설정
 Ⅲ. 표본의 특성 및 조작적 정의
  1. 자료 수집 및 표본 특성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Ⅲ. 실증분석 및 가설 검증
  1. 자료점검의 실시
  2.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연구가설의 검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충현 Kim Choong-Hyun.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