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of Nurses in Shift Work Using Transtheoretical Model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s in shift work nurses. The subjects were 120 shift work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Χ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exercise motivation factors of shift work nur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β=2.480, p=.022), health status perceptions(β=1.151, p=.013). Social support factors (β=1.819, p=.002) and marital status (β=-1.820, p=.004)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of shift work nurses. In other words, subjects with change in exercise behavior had 11.9 times higher motivation and 3.1 times higher health status perception than those without change in exercise behavior, social support was 6.1 times higher, and unmarried subjects showed 16 times showed higher than that of married subje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trategy to practice continuous and regular exercise in consideration of the exercise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perception of the nurses in shift work.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병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120명의 간호사이 다.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Χ2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대 근무 간호사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동기(β=2.480, p=.022), 건강상태 지각(β =1.151, p=.013), 사회적지지(β=1.819, p=.002)와 결혼유무(β=-1.820, p=.004)로 나타났다. 즉, 운동행위 변화가 있는 대상자가 운동행위 변화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운동 동기가 11.9배 높고, 건강상태 지각은 3.1배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는 6.1배, 미혼인 대상자는 기혼인 대상자에 비해 .16배 높았다. 그러므로 교대근무간호사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운동동기와 사회적지지, 건강상태 지각인 점을 고려하여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 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자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방법
2.5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운동 동기, 소진, 건강상태 지각, 사회적지지
3.3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따른 일반적 특성, 운동동기, 소진, 건강상태 지각 및 사회적지지의차이
3.4 대상자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