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도덕적 의사결정은 도덕적 판단에서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가는 전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실천 대안을 모색 하고 그 중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의식적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판단-선택-행위의 구조에서 판 단과 선택을 아우르는 과정이 의사결정 과정이다. 판단은 평가와 관련된다. 어떠한 대상이나 행위, 현상 등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그 대상, 행위, 현상 등에 대한 평가의 의미가 담겨있다. 그리고 많은 경우 보편적 도덕 원리가 평가에 대한 준거로 작동한다. 반면 선택은 의무로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선택은 상황에 대한 보다 특수 한 고려를 수반한다. 판단과 불일치하는 선택의 경우 판단을 이끈 의무감을 뛰어넘는 여러 요인이 작동할 수 있다. 다양한 요인이 최초의 도덕 판단과 괴리된 선택으로 행위자를 이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으로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정서를 살펴보았다. 도 덕적 추론에 의한 정당화 과정은 판단을 선택으로 나아가게 하는 의사결정의 유의미한 심리적 동기 가 될 수 있다.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에서 어떠한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는 설득력 있는 이유를 발견한다면 의사결정이 한결 쉬워지면서 그러한 결정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된다. 또 한 직관적 판단의 편향을 차단하고 오류를 교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현재의 나의 정서와 선택 이 후 예상되는 미래의 나의 정서 역시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정서적 만족감, 죄 책감 등의 감정은 도덕적 의사결정을 고양시키거나 비도덕적 의사결정을 억제할 수 있다. 도덕적 의사결정과 실천력 함양을 위해 역량 중심과 동기화 중심으로 접근하여 도덕교육적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전자가 개별 행위에 직면한 행위자의 대응에 초점을 둔다면, 후자는 개별 행위 보다 는 행위자의 전체적인 성향이나 성품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공감, 개인적 가치, 성격 특 성에 기반한 역량 강화와 함께 도덕적 정체성을 통한 동기화 문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도덕 판단과 도덕적 의사결정
1. 도덕 판단과 도덕적 행동 사이의 간극
2. 판단과 선택의 과정으로서 의사결정
Ⅱ. 도덕적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
1. 도덕적 추론과 의사결정
2. 도덕적 정서와 의사결정
Ⅲ. 도덕적 의사결정과 도덕교육
1. 도덕적 의사결정 역량 강화
2. 도덕적 정체성을 통한 실천적 동기화
Ⅳ. 결론
참고문헌
토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