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L1多義動詞「열다」「보다」の転移可能性 - L1典型度、L2におけるL1用法の有無、習熟度の影響 -

원문정보

Transferability of the L1 polysemous verbs “yelta” and “pota” in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Japanese : Effects of L1 prototypes, presence/absence of L1 uses in the L2, and L2 proficiency

한국인일본어학습자におけるL1다의동사「열다」「보다」の전이가능성 - L1전형도、L2におけるL1용법の유무、습숙도の영향 -

薛惠善, 稲垣俊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Japanese polysemous verbs aku/akeru/hiraku “open” and miru “see” within the framework of Kellerman’s (1978) “psycholinguistic markedness.” In particular, it examined the effects on the transferability of L1 prototypes, the presence/absence of the uses of L1 in L2, and L2 proficiency. Whereas data from the aku/akeru/hiraku study was inconclusive about the effect of L1 prototypes on the transferability due to problematic test items, data from the miru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prototypicality of the uses of L1, the higher their transferability to L2, suggesting that the psycholinguistic markedness approach to transferability can be extended to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Japanes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uses of L1 that exist in L2 are more transferable than those that do not, that the uses of L1 that are present in L2 and high in L1 prototypicality are the most transferable, and that with increasing proficiency, the rate at which uses of L1 that are present in L2 are transferred rises, whereas that of uses that are absent from L2 declines.

한국어

본 연구는 Kellerman(1978)의 심리언어적 유표성(psycholinguistic markedness) 이론을 토대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다의동사 ‘開(あ)く/開(あ)ける/開(ひら)く’와 ‘見る’ 를 습득 할 시에 모어(L1)용법의 전형성과 목표언어(L2)에 L1의 용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전이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학습자의 숙달도가 전이 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L1전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어 모어화자에게는 전형도 조사를, 학습자에게는 일본어 발화테스트와 정오판단 테스트를 실시하여, 각 요인이 전이 가능성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開(あ)く/開(あ)ける/開(ひら)く’의 결과에서는 테스트 항목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L1전형도가 전이가능성에 끼치는 영향을 제시하는 증거는 얻을 수 없었으나, ‘見る’ 에 대해서는 L1전형도의 영향이 나타나, 심리언어적 유표성 이론이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습득에도 적용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또한, L2에 존재하는 L1용법은 L2에 존재하지 않는 용법보다 전이가 잘 일어나는 점, L2에 존재하면서 L1 전형도가 높은 용법이 제일 전이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L2에 존재하는 용법의 전이율은 높아지는 반면 L2에 존재하지 않는 용법의 전이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調査
  3.1 典型度調査の方法と結果
  3.2 發話テストの方法と結果
  3.3 正誤判断テスト
 4. まとめと考察
 参考文献(Reference)
 <参考辞書>
 <요지>

저자정보

  • 薛惠善 설혜선. 名古屋大學大學院國際言語文化硏究科 博士後期課程
  • 稲垣俊史 名古屋大學大學院國際言語文化硏究科 催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