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의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배포, 활용

원문정보

A Review of Recent Japanese Excavations : Reporting and Digitization of Archaeological Records

쇼다신야, 손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Japan, although archaeological excavations took place as early as in the 17thcentury, it is as late as the 1960's that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published guidelines for archaeological excavations, due to the drastic increase of developer-funded excavation caused by rapid economic growth. 44 years after the first publication, new guidelines have only now been published because of the enlarged scale of excavations and development of methodology in this field. Being guided by this publication,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modern Japanese excavations, includ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methodology of excavation and process of report publication, as well as the distribution and disclosure processe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s how to deal with the vast amount of excavation reports assumed to number around 200,000. An online resource project of Japanese excavation reports called 'Comprehensive Database of Archaeological Site Reports in Japan' has been promoted by Nar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archaeological research through the inclusion of English and full-text search functions. Yet, digitization of archaeological reports has been criticized with regard to concerns over reliability, permanency, and authenticity. Now, academic exchanges about topics like digitiz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like Korea are requir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한국어

일본에서 발굴조사는 일찍이 17세기까지 올라간 사례도 있지만, 소위 긴급조사 발굴 건수의 급증에 의해 발굴조사의 지침이 필요하게 된 것은 고도 경제 성장기인 1960년대의 일이다. 이때 󰡔埋藏文化財発掘調査の手びき󰡕라는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입문서가 국가 주도로 출간되어 40년 동안 발굴조사의 지침이 되어 왔다. 최근 발굴 건수의 증가와 조사 기술의 발전을 배경으로 44년 만에 유사한 이름의 입문서가 출간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이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에서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그리고 공개 상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일본에서의 행정적 유적지 인식과 발굴 허가 절차, 발굴조사의 순서와 기법, 현장에서의 기록 방법, 보고서 작성 과정, 보고서 배포와 공개 등이다. 현재 일본에서 발굴조사 보고서와 관련된 가장 큰 문제는 20만 권으로 추정되는 막대한 분량의 자료를 어떻게 보관하고 공개 및 활용할지에 대한 것이다. 보고서 디지털화와 ‘전국 유적 보고 총람’ 프로젝트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사업인데, 2015년부터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새로운 온라인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전체 문장 검색이나 영어 검색 기능 등을 이용하여 연구의 효율성과 자료의 활용도를 비약적으로 높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 또한 적지 않다. 디지털화의 선진국인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사례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디지털 기록 보존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조금씩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발굴 허가 절차
 Ⅲ. 발굴조사 순서와 기법
 Ⅳ. 기록 방법
 Ⅴ. 보고서 작성 과정
  1. 현장 기록의 정리
  2. 유물 정리
  3. 보고서 편집
 Ⅵ. 결과 보고와 보고서 공개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쇼다신야 Shinya Shoda. 나라문화재연구소 도성발굴조사부
  • 손준호 Joon-ho Son.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