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무상생(有無相生)”의 노자 철학에서 본 인문학적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인식 제고와 전망

원문정보

Teachers’ Recognition and Perspectives for Humanistic Art Education Seen in Laozi’s Philosophy, the Presence-abs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Win-win

김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overcome the stasis of practice in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repeated in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to change teachers' humanistic recognition through philosophical aesthetics by finding the methodological thinking for the teachers' practi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s the humanistic practice of art education at school and the stat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tries theoretical discussion to find the origin of internal stagnation of art education by encountering Laozi’s thinking, "the Presence-absence win-win (有無相生) and Face to face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criticizes the logos-dogma of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which is confined to the thinking of identity under the base of wester logos and forces the discrimination, confrontation, specific lessons, and value norms. It presents the relationship of the Presence-abs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Win-win and Antagonism Win-win, which recognize the world as interdependent and inseparable relations. It also suggests the logic of "judging wrong and right before the third person" (對待) and "mutation transposition" (變易) in which mutual oppositions which think through changes in the movement process toward the opposite side are not hostile but act in harmony with each other in organic rela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not to present new stereotypes and more digressed diversity in art education but to make humanistic changes to open self to others by taking others as basis of existenc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ubjects of art education shall organize and communicate relations by various combination methods, and move toward changing and creative 'art education with thought'.

한국어

본 논문은 최근 우리교육의 현실에서 반복되는 미술교육의 실천적 정체를 극복하고 교사의 예술실천을 향한 방법적 사유를 찾아 철학적 미학에 의한 교사의 인문학적 인식 변화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 학교미술교육의 인문학적 실천과 교사의 인식상태를 분석하고, 미술교육의 내적 지체의 근원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동아시아의 ‘유무상생(有無相生)의 노자 사유’와 맞대면을 통해 이론적 논의를 시도한다. 특히, 현재의 공교육이 대체로 서구적 이성(logos)의 기초 아래 동일성의 사유에 갇혀 분별, 대립, 특정한 교훈, 가치규범의 강요로 인한 로고스 도그마(logos-dogma)를 비판하며, 동양의 노자 철학에서 세상을 상호의존적, 불가분의 관계들로 인식하는 유무상생(有無相生)‧상반상성(相反相成)의 관계론을 제시한다. 반대편으로 향하는 운동 과정의 변화를 통해 사유하는 상반(相反)의 맞 짝들이 적대(敵對)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 관련 속에 서로 함께 어우러져 작용하는 ‘대대(對待)와 변역(變易)의 논리’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미술교육에 새로운 고정관념이나 더 빗겨가는 다양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부정성, 타자를 존재근거로 삼아 타자를 향해 자신을 열어놓는 인문학적 변화를 기대한다. 그래서 다양한 주체들이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관계들을 자율적으로 조직하여 변화와 생성의 ‘생각하는 미술교육’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글
 2. 현 학교미술교육의 인문학적 실천과 교사 인식 상태
 3. 로고스 도그마와 노자의 무(無)
 4. 유무상생(有無相生)ㆍ상반상성(相反相成)의 관계론과 미(美)
 5. 대대(待對)와 변역(變域)의 논리, 그 인식의 전환
 6. 미술교육에의 시사점과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경 Jae-Kyung Kim. 장승초등학교 교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