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국 교원양성체제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Initial Teacher Training in England and Its’ Implications

김천홍, 홍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conservative party took over the power in 2010, the various educational reforms in initial teacher training(ITT) have been introduced in Eng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of initial teacher training in England and analyze the main institutional features and educational issues of i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along with ‘traditional model’, England underlines the professionalization of teaching and minimum-competency model of ITT, which emphasizing the balanc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based and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to the structure of ITT routes to be qualified teachers. As a result of moving toward a school-led routes, the increasing divergence in the entry routes reflects the policy discourse that the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 between schools and higher education would give more opportunity for competent would-be teachers. In addition, the autonomous teacher education, whilst recognized as a challenge by higher education, can be probably a strength of ITT in England. Thirdly, England has mechanism in place to ensure that ineffective or incompetent would-be teachers be removed from the school by enhancing entry requirements and establishing rigorous accountability system for the quality of teaching. Given the movement toward competence-based national curriculum review,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ITT, this study draws out lessons to Republic of Korea in the aspect of initial teacher training model, the principle of autonomy and diversity for re-structuring ITT and quality assurance through accountability system.

한국어

영국은 2010년 보수당 정부가 출범한 이후 교원의 질적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교원양성체제 개혁들을 추진해 왔다. 본 연구는 영국의 교원양성체제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의 교원양성정책과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영국의 교원양성체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의 교원양성체제는 다양한 양성 모델을 운영하고 있지만 현장중심 교원양성 모델을 중심으로 단위학교와 양성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둘째, 교원양성 재구조화의 원리로서 영국은 교원양성경로의 다양성과 양성교육과정의 자율성을 강조하여 우수 교원의 교직 진입을 장려하고 있다. 셋째, 교원의 질적 제고를 위해 예비교사의 자격 요건을 강화하고 양성기관의 자율성 및 엄밀한 책무성 체제를 통해 예비교사의 역량과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있다. 영국의 교원양성정책과 체제의 주요 특징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원양성에 관한 시사점을 교원양성 역량 및 현장중심 교원양성 모델 측면, 교원양성기관의 자율성과 예비교사 선발의 다양성 측면, 교원양성체제 질 관리를 통한 책무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개정을 반영한 교원양성 체제로의 개선과 연계하여 예비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현실습의 내실화, 현장중심 교원양성체제에서의 대학과 단위학교 간의 연계 강화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언하였다. 또한 양성기관의 자율성 강화, 교원 선발의 다양성 확보 방안과 함께 예비교사의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와 교사자격 검정의 개선, 교원양성기관 평가 연계를 통한 교원의 질 및 책무성 강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원양성체제의 구조와 교원양성모델
  2. 선행 연구 분석
  3. 연구 방법 및 분석 틀
 III. 영국 교원양성체제 개관
  1. 예비교사 자격 요건
  2. 영국의 교원자격 취득 경로
  3. 영국의 교원자격 취득 현황
 IV. 영국 교원양성체제의 특징
  1. 단위학교 주도 양성 및 최소역량 모델로의 재구조화
  2. 다양성과 자율성으로의 교원양성정책의 전환
  3. 교원양성체제의 수급 및 질 관리 체제 구축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천홍 Kim, Chun Hong. 케임브리지대학교
  • 홍수진 Hong, Su Jin. 인하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