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간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창업영재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Focusing on the Founding Bizcool Startup Camp Program-

노현철, 김경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and effectiveness of youth entrepreneurship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level and career change perceptions, And suggested way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career recogn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awareness, and the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chang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irst, all factors such as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entrepreneurship, autonomy, achievement desire, etc., Which are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have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recogni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ness, enthusiasm, autonomy and achievement desire. However, the risk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hange before and aft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l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were analyzed as positive (+).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method and cont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focu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manag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ncils in government ministries with various stakeholders. Third, it is expected that future-oriented education will be possible if software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re integrated and operated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창업영재캠프를 중심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함양수준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 수준이 진로인식의 변화에 어떤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및 진로교육을 위한 상호 연계․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기업가정신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기업가정신 변화차이 등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의 모든 요소가 진로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전과 후의 변화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정(+)의 유의한 변화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있어 보다 학생의 참여와 체험중심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부처 내에 기업가정신 교육 협의체 등을 다양한 이해관계가자 참여하여 조정․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및 기업가정신 교육, 진로교육이 종합적으로 연계 운영될 경우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진로인식의 필요성과 정의
  2. 기업가정신의 개념
  3.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
  4. 기업가정신 교육과 진로인식 관계
  5. 프로그램 만족도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가설 설정과 연구모형
  2. 표본의 설계와 자료분석 방법
  3. 변수의 측정
 Ⅳ. 실증분석과 연구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분석결과 및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현철 No, Hyun-Churl.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박사과정
  • 김경재 Kim, Kyoung-Jae. 창업진흥원 창업교육부 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