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 통일과 신연방주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 체제의 변화

원문정보

The Transform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Civic Education in New Federal States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차조일, 원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civic education, which took place in the new federal states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Taking the main figures of the transformation into account,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Staatsbürgerkunde’(state citizen education) in GDR was provided by universities or pedagogical colleges according to the strict guidelines of the state. GDR accepted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of FRD during the process of German Reunification. And, after that, the new federal states each developed distinctiv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Kulturhoheit’ (culture sovereignty). Similar to the German case, restructuring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civic education will be crucial in the process of Korean Reunification. South Korea need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political education of North Korea and needs to be prepared to transform that system and to assure the stability of the new one.

한국어

본 연구는 독일 통일과정에서 나타난 신연방주의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 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 을 통해 남북통일 이후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 체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독일 신연방주에서의 교사 양성 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구동독에서는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이 중앙 정부의 지침에 따라 통일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전환기 구동독지역 전체에 적용된 임시 규정이 존재하였고, 이후 신연방주들이 문화고권에 근거하여 각주의 실정에 맞는 별도의 교사 양성 체제를 구축하였다. 셋째, 브란덴부르크 주는 포츠담대학의 사회과 교사 양성 과정을 1단계 교사 양성 과정으로, 그리고 주립 교원양성원과 실습학교의 협업 체계를 2단계 교 사 양성 과정으로 운영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본 연구는 남북통일 이후 정치교육 교사 양성 체제 재구조 화를 위해 북한의 정치교육 교사 양성 체제에 대한 이해 및 과도기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전환 기 이후 안정화를 위한 로드맵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II. 통일 이전 동독 지역의 국가시민과 교사 양성
  1. 동독 교육과 교사
  2. 국가시민과 교사의 양성
 III. 독일 통일과 신연방주의 교사 양성체제 변화
  1. 신연방주의 성립과 교육 개혁
  2. 전환기 신연방주에서의 교사 양성 체제 개혁
 IV. 통일 이후 신연방주에서의 사회과 교사양성 체제 : 브란덴부르크의 사례
  1. 브란덴부르크의 교사 양성 체제
  2. 브란덴부르크 주에서의 사회과 교사 양성
 V. 요약 및 시사점
  1. 분석 결과 요약
  2. 시사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차조일 Cha, Jo il.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원준호 Won, Jun Ho. 한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