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 텍스트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성취수준 작성 및 수업계획의 방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뉴 리터러시 연구(New Literacy Studies) 관점에 기초하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Standards and Lesson Plans to Teach How to Read Social Studies Text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Literacy Studies

이승연, 최정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that will help social studies teachers develop teachings for improving students’ reading to understand social studies text. Becaus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topic, this study develops the guide by analyzing the connections between reading and social studies as they appear 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the National Council of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and an associated NCSS guide for teaching reading in social studies classes. In addition, the directions include perspectives from New Literacy Studies, in which literacy is defined as a construct through which to understand texts from operational, cultural, and critical dimensions. Based on these ideas at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teaching level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curriculum standards of readings in social studies and offers a brief lesson pla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uggestions and offers that this study mak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hat focus on reading, which is a new domain of South Korean social studies scholarship.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과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수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현 시 점에서 읽기 교육과 사회과 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교육과정인 공통핵심교육과정(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및 전미사회과 교육학회(National Council of Social Studies, 이하 NCSS)의 교육과정과 NCSS가 출판한 사회과 읽기 수업 안내서를 참고하여 사회과 텍스트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수업 설계를 위한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과정 안을 제안한다. 이론적 관점으로서 뉴 리터러시 연구(New Literacy Studies, NLS) 관점을 채택하 여 문해력의 비판적 차원에 대한 고려와 다양한 매체 활용을 위한 고려가 사회과 읽기 능력 수업에서 이루 어져야 한다는 원칙을 도출한다. 이 원칙은 사회과 읽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설계의 방향 성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뉴 리터러시 관점에서 사회과 읽기 교육
 III. 사회과 읽기 교육에서 채택할만한성취기준 : 미국의 공통핵심교육과정과 NCSS 교육과정을 참조하여
  1. 공통핵심교육과정의 읽기 기능 성취 기준
  2. NCSS 교육과정의 읽기 기능
 IV. 교실 수준에서 행하는 사회과 읽기교육 : NCSS 안내서에 대한 탐색
  1. 사회과 읽기 교수·학습 과정안
  2.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읽기 활동 예시
 V. 한국 사회과 읽기 교육 : 성취기준 및 가능한 교수·학습 과정안
  1.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상의 읽기 기능 및 성취기준
 VI. 결론 및 제언
 주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이승연 Seung-Yun Lee.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 최정순 Jungsoon Cho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