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백제 미륵사지 3탑3금당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riple Towers and Halls in Baekje Mireuksa Temple Site

이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ekje's 7th century temple Mireuksa consists of three districts, each containing a tower and a hall. It is possible that three Buddha statues of different themes, rather than various Bodhisattvas, were worshipped. This is because each of the triple halls corresponds to each tow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triple structure from the viewpoint of Baekje which is raised since the discovery of Sarira Reliquaries from Mireuksa temple site. First, there is a clear rule with the triple districts in ancient temples. In ancient/ medieval Chinese temples, there were a front tower and the main hall, where the Buddha was worshipped. In the era of Sui/Tang dynasties, multi-temple and multi-hall structures were emerged. It reflects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objects of faith. It also reflects Buddhist world view on the time and space of the three worlds. In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he placement of three districts was common in major temples in Goguryeo, Silla, and Japan. In the document accompanying Sarira Reliquaries from Mireuksa temple site, it was recorded that the queen of Sataek enshrined Buddha's bones inside of the west tower in year 639. It was also expressed that the donor wished the eternality of the wished, and furthermore wished for all people to achieve Buddhahood. Nonetheless, this interpretation is contradicted to a folk story associated with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The folk story indicated the presence of Silla kingdom and Maitreya’s three assemblies of Yonghwa. Because the Mireuksa temple was still operated as a large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exaggeration of narratives seems inevitable and the historicalization of the narratives also seems possible. As is well known, the structure of a multilayered world of Mahayana Buddhism is supported by the unified space-time awareness and associated rules, but not by three iterations of a single world. The trends of Buddhism in the late Baekje period were characterized by sincerity, trinitarianism, legalization, and practical Maitreya Buddhism. It is rational to interpret that worship in Baekje Mireuksa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three types of Buddhism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Buddhism rather than the microscopic Maitreya religion of the three assemblies of Yonghwa. When analyzed, Mireuksa’s west and east districts were linked to the reality of the experienced world. The west district was the space of Buddha, the root cause. The east district was the space for Buddha's past, corresponding to the proof of the truth. The central district is a special space of future Buddha.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ree-spaces and three Buddhas in temple Mireuksa would indicate a wish for the golden age of the future that can be brought by the past and present. It ultimately means the immortal peacefulness, wished to be accomplished in Baekje by the lasting power of the Buddha.

한국어

백제의 7세기 대사찰 미륵사는 세 개의 원(院)에 각각의 탑과 금당을 지닌 이른바 3탑3금당의 삼원가람이다. 삼원의 금당이 각각의 탑과 조응하므로 다양한 보살이 아닌 각기 다른 주제의 세 불상이 있을 개연성이 높다. 이 글은 미륵사지 사리장엄구의 발견 이후 제기되는 백제의 관점으로써 삼원구조의 의미를 살폈다. 먼저, 고대 가람 삼금당에는 소통되는 분명한 규칙이 있다고 보여 진다. 중국고중세 사원이 석가숭배를 위주로 하는 전탑후전(前塔後殿)의 단원식(單院式) 가람에서 수․당대에는 다원다전식(多院多殿式) 가람배치로 변화되었다. 그것은불교사상의 전개와 신앙대상의 다원화 추세를 반영하며, 삼세(三世)의 시공간에대한 불교세계관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6세기 말 이후 7세기 전반 경에 고구려, 신라, 일본의 주요 사찰에서는 3금당의 배치가 일반적이었다. 미륵사 석가사리봉안기에는 사택왕후가 사찰을 건립하고 639년 서 석탑에 사리를 봉영하였다고 하였다. 아울러 불멸의 공양대상을 향한 공양자의 영원성에대한 기원과 모든 중생이 함께 불도 이루기를 바라는 대승의 회향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그것은 그동안의 창건 설화로 익숙한 신라적 존재와 미륵 용화삼회에 대한 해석과 서로 대치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도 미륵사가 대사찰로 경영되었기에설화의 가공은 필연적으로 보이며 설화의 역사화도 가능할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대승불교의 다층세계구조는 단일 세계의 3회 반복이 아닌통합된 시공간의 인식과 규칙들로 뒷받침된다. 백제 후기 불교의 흐름은 대승불교의 사유 속에서 성실론, 삼론학, 법화, 실천적인 미륵신앙 등이 주요한 특징이다. 백제 미륵사는 용화삼회라는 미시적 미륵신앙 보다는 불교의 보편성에 기반을 둔 시방삼세제불에 대한 인식이 그 바탕을 이루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분석하건대 미륵사의 서원과 동원은 경험세계인 현실과 연결된다. 서원은 근본원인인 석가의 공간, 동원은 진리의 증명에 해당하는 과거불의 공간이다. 중원은 미래불의 특별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미륵사에서 삼원공간의 삼세불 개념으로의 적용은 과거와 현재에의해 출현 가능한 미래의 황금시대를 기대하며, 결국 그것은 붓다의 영속적인 힘에 의해 백제에서 이루어지기를 염원하는 불멸의 평화로움을 의도한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I. 머리말
 II. 고중세 동아시아 다원가람과 3금당가람의 전개
 III. 미륵사지 석가사리봉안기와 창건설화의 맥락
  1. 미륵사지 사리봉안기의 환기(喚起)
  2. 미륵사지 창건설화의 중의(衆意)
 IV. 미륵사지 3탑3금당에 대한 삼세관점의 적용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화 KyungHwa Lee. 문화재청 감정관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