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

원문정보

A Study o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and Occupational Aspi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최지향, 이건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process of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choose their future job. The research led to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ly share a common image about occupations, but some have different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gender. Second,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rmed higher and more masculine than middle, and its width was relatively narrow. Third, the averag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 and masculin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perception of sex role.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variety of follow-up studies dealing with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n order to broade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students, proper circumstances with various types of career information should be created. Thir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the school scene.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미래 자신의 직업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를 확인하고,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사전조사를 통해 질문지에 사용할 직업목록을 확정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를 거쳐 질문지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거쳐 질문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700부를 배포하여 624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엑셀과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t검증, F검증과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대체로 직업에 대해 보편적인 이미지를 공유하지만 몇몇 직업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은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남성적인 직업, 지위가 높은 쪽으로 치우쳐서 영역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 넓이는 비교적 좁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직업포부는 평균적으로 중간을 기준으로 다소 높고 남성적인 직업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학생들의 직업포부는 진로대안영역 내에 설정되어 있었다. 넷째, 학업성적, 성공욕구,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수준, 주변의 기대, 성역할인식 정도의 5가지 자아개념 중에서 성역할인식과 관련한 자아개념이 진로대안영역, 직업포부와 상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초등학생들의 진로대안영역을 다룬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대안영역을 넓히기 위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성역할평등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II. 이론적 배경
  1. Gottfredson의 직업 포부 발달이론
  2. 초등학생 대상 직업 관련 연구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IV.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초등학생의 직업인식과 진로대안영역
  3. 초등학생의 직업포부와 진로대안영역과의 관계
  4.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대안영역, 직업포부와의 관계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지향 Choi, Ji-Hyang. 의정부 청룡초등학교
  • 이건남 Lee, Gun-Nam.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