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문화유형과 행복유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ersonal Culture Type and Happiness Type Affected by Service Quality Evaluation

김경민, 송영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hows the impact on consumers’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personal culture type and happiness type. First, Cultural types were divided by two typ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not with nationality but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Hofstede(1980). Happiness could be defined in several ways, however, it was classified with two characteristics of exciting and calm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structural concepts of correlation between culture type and happiness type by consumers’ service quality evaluation based on service familiarity and service involvement. Three hypothesis were made by previous studies followed by experiments. ANOVA was applied to review the hypothesis 1 via 2×2 between-subject design of culture type. The PROCESS program was analyzed to test mediate effects for hypothesis 2 and 3. The result showed that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re different based on happiness type for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 case of exciting happiness, service quality for consumers in collectivism turned out to be way better than those in individualism. In calm happiness, service quality for consumers in individualism showed better than those in collectivism.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correlations in between service familiarity and service involvement for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is study suggests that muc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not only for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ut for service familiarity and service involvement regarding company’s service discrimination strategy.

한국어

본 연구는 개인이 갖는 문화유형과 행복의 유형이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문화유형은 개인적 성향으로 분류를 하였다. 또한 사람들 이 느끼는 행복 역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행복을 흥분과 고요함 두 가지의 속성을 가진 행복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문화 유형과 행복의 유형의 개념들이 서비스 친숙도, 서비스 관여도와 함께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대한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2(문화의 유형: 개인주의; individualism/집단주의; collectivism) × 2(행복의 유형: 흥분함/고요함)집단 간 설계를 통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2 및 가설 3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서비스 품질 평가에 있어 행복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흥분한 속성의 행복인 경우, 개인주의 소비자들에 비해 집단주의 소비자 들에게 서비스 품질이 더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고요한 행복의 속성인 경우, 집단주의 성향의 소비자들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의 소비자들이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서비스 친숙도와 서비스 관여 도의 매개효과를 밝혀내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개인주의 및 집단주의
  2.2 행복
  2.3 서비스 품질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연구모형
  3.2 가설 설정
 Ⅳ. 실험
  4.1 연구방법
  4.2 측정도구
  4.3 변수의 신뢰도 및 상관관계 검증
  4.4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민 Kyung-Min Kim. 신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부교수
  • 송영홍 Yinghong Song. 신라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