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근거중심 재활 공간 디자인을 위한 공간 환경 만족도 연구 - 환자 중심 재활의료서비스를 위한 융복합적 접근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acial Environment Satisfaction for Evidence Based Design of Rehabilitative Health-Care Facilities - convergent approach for patient-centered rehabilitative healthcare

이나경, 서다솜, 송경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tient satisfaction for the spacial environment of the rehabilitative facilities, and by this to examine areas of patients' needs to develop patient-friendly improvement in spacial environment. 308 patients were surveyed at physical therapy centers of 6 hospitals or rehabilitative institutions in Daejeon with pat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spa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into 7 constructs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compared by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nter-floor transfer was found to be the area with the least satisfaction, especially in the in-patient group. Locating floor level was the second lowest satisfied construct. Comfort was relatively highly satisfied construct overall, but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 had less satisfaction than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in 20’s were less satisfied in wayfinding than 60’s. Satisfaction for interior design was lower in subject in 50’s than 70’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evidences to improve spacial environment design for rehabilitative facilities to the better patient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재활의료 기관의 공간 환경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환자들의 만족도가 미흡한 영역을 파악하 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자 중심의 재활의료 공간 환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대전지역 6개 종합병원 및 전문 재활기관의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30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공간 환경 만족도를 7개 구성 부문요소로 분류하였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기 위해 t-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층간 이 동성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입원환자에게 있어서 특히 그러했다. 치료실이 위치한 층은 두 번째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쾌적성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구성 부문요소이긴 했으나, 신경계환자의 경우 근골격계 환자 보다 덜 만족하였다. 20대 환자가 60대에 비해 길 찾기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실내디자인에 있어서는 50대가 70대 에 비해 상대적 만족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조사결과와 분석은 향후에 환자들이 더 만족할 수 있도록 재활기관의 공간 환경 디자인을 개선해가는 데에 있어서 근거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조사 도구
  2.3 통계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특성
  3.2 설문 평가 도구의 신뢰도
  3.3 공간 환경 만족도 및 공간 환경 구성 부문(별) 만족도
  3.4 대상자 특성 분류에 따른 공간 환경 만족도 및 공간 환경 구성 부문(별) 만족도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나경 Nakyung Lee.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서다솜 Dasom Suh.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송경은 Kyungeun Song.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