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Tori and Sigimsae in th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초록
영어
The teaching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are specified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09. Tori was chosen as the main contents from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07 and sigimsae from the 7th music curriculum. Since then they have been dealt with, as the important concepts of Korean music education. As such in this study I checked out the relevant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in the 13 kinds of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also proposed a few improvements when we teach them.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in quality of teaching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and provide reference materials in textbook development. Tori is pure Korean. It mean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such as structure of sound, a mode, the function of sound, the importance of sound, sigimsae. Sigimsae is also pure Korean and the concept including a grace note, the form of sound(sungeum and mok), a mass of sound, expressive function. As the result of a review of those textbooks, I found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books in the names, description, used sounds, notation, teaching contents, music of tori and in the teaching contents, music, notation of sigimsae. In this study, I suggested a few plans to improve based on the above review of results. First, two names of tori is used in the same meaning. Furthermore some textbook is not actively use the name of tori. Therefore we must standardize the name of tori and also use actively the name of tori. Second, we should be careful in selecting musics to teach tori. For example ‘Geumdaraekkung’ is selected with representative music to teach susimga-tori.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 music is not correctly susimga-tori. So we need to be reconsidered in selecting the music. Third, it needs to expand and modify the teaching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there are many cases to teach tori and sigimsae only one-time. And the falling sound of menari-tori was presented in some textbook by melody type composed of notes. It is proper that the melody composed of notes consider as a characteristic melody type not sigimsae of menari-tori. Forth, the marking of tori and sigimsae must be united. The structure of sound and musical scales of tori is different in textbooks. There were two ways on notation of sigimsae. It may be more suitable to express using sign for the features of sigimsae to come into view clearly than to express complicated using several musical notes.
한국어
현재 음악과 교육과정에는 토리와 시김새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토리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제시되었고 시김새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주요 내용으로 선정되었으며 현재까지 중요한 국악의 지도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 총 13종을 대상으로 토리 및 시김새와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토리와 시김새 지도의 질적 제고를 꾀하고 교과서 개발의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토리란 순수한 우리말로서 음구조, 선법, 음기능, 음비중, 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을 지시하는 말이다. 시김새는 ‘장식음’과 같은 장식적 특성과 ‘성음과 목구성’ 등의 유동적 특성 그리고 ‘음의 덩어리나 표현 기능’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지시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토리에 대한 고찰 결과 명칭, 설명, 구성음과 시김새 표기, 지도 내용과 제재곡 측면에서 그리고 시김새는 지도 내용 및 제재곡, 표기 측면에서 교과서마다 약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과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토리와 시김새 지도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네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동일한 의미의 토리 명칭이 2가지가 사용되고 있었고 일부 교과서에서는 토리라는 말을 적극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토리의 명칭을 통일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둘째, 토리를 대표하는 악곡을 선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예컨대 ‘금다래꿍’을 수심가토리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는 전형적인 수심가토리의 음악적 특징을 지니고 있지 않고 있으므로 재고해야 한다. 셋째, 토리와 시김새 지도 내용의 확충과 수정이 필요하다. 토리와 시김새 지도 내용 중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례가 많았고 선율형으로 제시한 메나리토리의 흘러내리는 소리는 시김새라기보다 관용적인 선율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토리와 시김새 표기가 통일되어야 한다. 토리의 경우 음구성이나 시김새 표기가 교과서마다 조금씩 달랐다. 시김새는 기호나 음표 등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고 있었는데 음표를 사용하여 복잡하게 표현하기보다 기호를 사용하여 시김새의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나게 제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목차
Ⅱ.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토리와 시김새 고찰
Ⅲ. 토리와 시김새 지도를 위한 개선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