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o history subject among various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s. The researcher grasp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research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invented and utiliz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two questionnaires. In the process of problem development,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problem that requires a complex thinking power as well as a topic to penetrate the history of Greece and Rome. The main theme was the war tha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Greece and Rome. As regards Greece, learners should be aware of Herodotus, a criticism of Western supremacy, and the critical view of him and the prisoners of war. As regards Rome, scholars are interested in the purpose of the war.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should provide a concrete and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Second, learners seemed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instructor if the problem was clear and simple. Third, after problem-based learning, learners’ level of difficulty, amount of learning, amount of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problem-based learning is lowered. An educational effect is high when intention of the instructor who is inherent in problem is conveyed properly. The instructor should not provide one-sided lectures and answers, but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increase their opportunities to actively seek knowledge.
한국어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중심의 학습법 중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역사 과목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문제 개발 과정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팽창에 일조한 전쟁을 핵심 주제로 선정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난 후 활동 보고서, 학습 보고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보고서에서 학습자들은 익숙하지 않은 학습 방법에 대해 어색해 했다. 따라서 교수자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충분한 설명을 해 주어야 학습자들의 생소함은 줄어들고 교육적 효과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학습 보고서에서 문제가 명확하고 단선적일 경우는 교수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는 것 같았다. 반면 교수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복합적인 문제일 경우, 관련 자료가 없는 경우 교수자의 의도와 다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문제의 의도, 문제의 해결 방법, 문제의 시간적, 공간적 상하한선, 보고서의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학기 초에 비해 학기 말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지도, 난이도, 학습량, 지식 습득량, 교육목표 달성 정도가 높은데 반해,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낮아졌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보다 실제 학습을 하면서 난이도나 학습량이 훨씬 높고 많다는 것을 체감한 결과로 해석된다.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본 결론은 현대적인 문제 이면에 시대적 사건이 내포된 문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역사적 사건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와 한계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 다양한 해결 방법이 있으나 역사적 사례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 등을 교수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자는 일방적인 강의나 해답을 제시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원하는 지식을 능동적으로 찾아가는 기회를 늘려주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목차
2. 문제중심학습의 이론적 배경
3. 문제 개발
4. 학습자들의 보고서와 교육적 효과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