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만무방」에 나타난 ‘불안’과 ‘유랑’의 서사

원문정보

The Narratives of Anxiety and Wandering in the 「Manmubang」

장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focusing on Kim You-Jeong’s Manmubang, examined Eung-Chil’s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his own existence in the past and the present. Eung-Chil, the protagonist, was created as a character successfully gaining awareness of his own existence after searching, on the road, for his own existence through narrative of ‘wandering.’ In semiotics, modality undergoes serial chang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 subject experiences disjunction with value objects while passing through narrative of the sentiment of Anxiety with the modality, resulting in ‘inability to exist’, continuing to bother the protagonist and lingering as resentment. This in turn is combined with the three episodes, functioning as the occasion for the subject to search for his existence or being. Eung-Chil witnesses that Eung-Oh is the person stealing the rice plant and becomes certain that it was due to forces of external coercion that he ended up being a Manmubang. It triggered the feeling of resentment, which he could not acknowledge, to transition into the feeling of Anxiety in the conclusion, presents it through an open ending. Kim You-Jeong, having Eung-Chil gain awareness of his own existence on the road, is talking about the need for recognition that life as a Manmubang is not just a problem or issue for Korean farmer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for everyone.

한국어

본고는 김유정의 소설 「만무방」을 중심으로 응칠이 과거와 현재의 시간속에서 자신의 존재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면밀히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만무방」에서 주인공 웅칠은 ‘유랑’의 서사를 통해 길 위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탐색을 거쳐 존재의 자각을 수행한다. 기호학에서는 주체가 가치대상(~이기를 원하기)과 맺는 관계에 따라 양태성을 연쇄적으로 변화시킨다. 「만무방」에서 주체(응칠)는 내면의 불안에 의해 가치대상과 이접하게 되는데 여기서 ‘존재할 수 없다’로 귀결된 양태성은 주인공 응칠을 지속적으로 괴롭힌다. 이러한 불안은 서사의 전개부분에서 상이한 세 편의 삽화와 결합되면서 주체의 유랑과 자신의 존재 의미에 대해 탐색하는 계기로 작동한다. 탐색의 과정에서 주체(응칠)는 동생 응오가 벼를 훔친 진짜 범인이라는 사실을 목격하면서 자신이 ‘만무방’이 된 것은 외적 강제의 힘에 의해서였음을열린 결말을 통해 제시한다. 이와 같이 「만무방」은 주체(응칠)가 길 위에서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도록하면서 만무방의 삶이 단순히 자신뿐 아니라 1930년대 일제 식민지를 살아가는 농군들의 공통된 문제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며
 2. 현실에 대한 불안과 유랑
 3. 농군들의 상이한 형상에 대한 관찰과 유랑
 4. 모순된 현실에 대한 성찰과 존재의 자각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수경 Jang Sukyung. 목원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