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casual relation among growth mine, passion about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Grit, and performance.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as growth mind and passion, and endogenous variables as Grit and performance. The subjests were 521 children(boys: 292, girls: 229) who were more 5th grade in G city. This study used growth mind scale, passion scale, Grit scale, and performance scale. This study used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In descriptive analysis, boys showed higher growth mind, passion, consistency of Grit, and performance than those of girls. Higher performance group(upper 10 % performers) showed higher growth mind, passion, and Grit than those of lower group. I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growth mind ⟶ Grit, performance, passion, → Grit, performance, Grit → performance. In analysis mediator effect, path of growth mind → Grit → performance was significant. This meant Grit mediate between growth mind and performance.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와 열정, 그릿, 운동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서 초등학생의 운동수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521명(남: 292, 여: 229)을 대상으로 성장마인드, 운동에 대한 열정, 그릿과 운동수행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기술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정마인드, 열정, 그릿의 일관성, 운동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수행능력이 우수한 학생(상위 10%)은 그렇지 않는 학생에 비해 성장마인드, 열정, 그릿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론모델의 검증에서 성장마인드와 열정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그릿과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연구모델은 이론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마인드 → 그릿, 성장마인드 → 운동수행, 열정 → 그릿, 열정 → 운동수행, 그릿 → 운동수행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에서 성장마인드 → 그릿 → 운동수행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성장마인드는 그릿을 매개하여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결과
1. 기술분석
2. 운동수행능력에 따른 집단 간 변인비교
3. 구조적 관계 분석
Ⅳ.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