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f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최인호, 김종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under effects of ions in turbulent flow.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miniature annular flume(mini flume) with a free water surface. Silica was used as sediment of experiment. The suspende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using a CCD-Camera. Settling of silica(SiO2) was allowed to occur under various shear stresses in a concentration of 7g/L. At condition of pH 4.2 and high NaCl concentration, the floc size D of silica was larger than D at condition of pH6.8 with the bed shear stress increasing. The settling velocity Ws of silica was higher at condition of 10g NaCl/L than Ws at condition of pH4.2. Comparison of measured concentration-time curves and concentration-time curves calculated by this study showed similar tendency in flow under effects of ion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난류흐름에서 이온의 영향아래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을 이해하는데 있다. 실험연구는 자유수면을 가지는 소형 환형수조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유사 재료로써 실리카(SiO2)를 사용하였으며, 부유농도는 CCDCamera로 측정하였다. 실리카의 침강실험은 7g/L의 농도일 경우 다양한 바닥전단응력을 부여해 실시되었다. 바닥전 단응력이 증가하게 되면 실리카의 플럭(floc)입자 입경(D)은 pH6.8에서보다 pH4.2와 높은 NaCl 농도에서 더 크다. 실리카의 침강속도(Ws)는 pH4.2에서보다 10g NaCl/L에서 더 높다. 본 연구에서 예측된 농도-시간 곡선은 실제 흐름 에서 이온의 영향아래 실측된 농도-시간 곡선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조건 및 절차
  2.2 점착성 유사의 침강 거동
  2.3 하상전단응력
 3. 결과
  3.1 플럭크기의 변화
  3.2 플럭크기에 따른 침강속도와의 관계
  3.3 플럭크기를 고려한 예측농도와 실측농도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인호 In Ho Choi. 서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종우 Jong Woo Kim. 서일대학교 토목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