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가정신 국제조사(GETR)의 개선방안 연구 : 기업가정신 하위차원 검증과 환경지수의 영향 고찰

원문정보

How to Improve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GETR) : Verifying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and Examin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Index(EEI)

정구혁, 이병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utilizing the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is aimed at: (1) verifying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2) comparing entrepreneurship indices among ten countries; (3) developing th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index (EEI), which is compose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ectiveness, and startup support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4) comparing EEIs among 10 countries; (5) investigating that each sub-dimension of EEI is related to each sub-dimension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ype (for either opportunity or livelihood), in turn. Our SEM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i.e., spirit for challenge, innovation orientation, value orient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ective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however, startup support availabi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value orientation only while startup support effective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spirit for challenge only; finally, only spirit for challenge predicted startup type for opportunity more strongly. Practically, our results suggest that Korea government should further provide nation-wide supports for increasing EEI.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중기청과 청년기업가정신재단에서 2015년 10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글로벌 기업가정신 국제조사(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 기업가정신의 하위차원들을 통계학적으로 검증하고 (2) 기업가정신 지수에 대한 국가 간 평균을 비교하는 한편, (3)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ectiveness), 창업지원 획득의 용이성(startup support availability), 그리고 창업지원의 효과성(startup support effectiveness) 등의 하위차원으로 이루어진 기업가정신 환경 지수(entrepreneurship environment index, EEI)를 개발하고 (4) EEI에 대해 국가 간 평균을 비교하며 (5) EEI의 각 하위차원이 기업가정신의 각 하위차원과 창업유형(생계형/기회형)을 예측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은 도전정신, 혁신지향성, 가치지향성의 3개의 차원으로 구성되고, 초중고 과정, 대학 과정, 그리고 직업/평생교육과정 시 수강했던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은 이들 기업가정신 하위차원 3개 모두에 강한 정(+)의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창업지원 획득의 용이성은 가치지향성에만, 창업지원의 효과성은 도전정신에만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어 기업가정신의 3개 하위차원 중 도전정신만이 생계형 창업보다는 기회형 창업 행동을 예측하였다. 아울러, 한국 참여자의 기업가정신 지수와 기업가정신 환경 지수(EEI)는 10개국 평균을 밑돌기에 국가차원의 창업환경(기업가정신 교육 및 창원지원)의 개선이 절실함을 일깨워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모형
 Ⅲ. GETR 분석 절차 및 데이터 특성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구혁 Goo Hyeok Chung.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 이병헌 Byungheon Lee.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