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Regulation

황매향, 하혜숙, 김명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role of academic self-regulation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is study, a total of 267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Students were asked to report the degree of their own gri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with the translated and validated Korean version of the scales. Their scores of final-semester academic achievement tests (both Korean and Math) were obtained from the school staffs with permi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the both scores of Korean test and math test. The direct effects of grit on the scores of Korean test and math tes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regulation on each sub-factor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The effects of perseverance of effort on both scores of tests were mediated by academic self-regulation. The direct effects of perseverance of effort on both test scores were also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regulation between consistency of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for math test score, not for Korean test score. The direct effects of consistency of interests on Korean test score and math test score were not significant. Overall,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veal more deeply how the grit leads to academic achievement.

한국어

이 연구는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자기조절학습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릿과 자기조절학습을 측정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실제 국어․수학 학업성취도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 검정 결과 자기조절학습은 그릿과 국어․수학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그릿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릿의 하위요인(노력지속, 흥미유지)에 따른 매개효과와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노력지속의 경우 자기조절학습이 노력지속과 국어․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유지의 경우 자기조절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매개 효과를 보였지만, 국어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 하위 요인들의 국어․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지속적인 노력과 흥미의 유지가 실제 학업성취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다 세밀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그릿(Grit)
  학업성취
  자기조절학습
  그릿과 학업성취 그리고 학업적 자기조절의 관계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 처리
 결과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그릿과 국어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검정
  그릿과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검정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매향 Mae Hyang Hwang. 경인교육대학교
  • 하혜숙 Hye Suk Ha.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김명섭 Myung-Seop Kim.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