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시통제경제하 백화점업계의 동향

원문정보

The Trends of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under the Wartime Control Economy

오진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of how department stores responded to the rise of the rationing policy under the wartime control economy. It also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transformed itself within the establishm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In the 1930’s,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was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using cutting-edge advertising methods to stimulate consumer psychology. The department stores used business tactics of building its reputation as “trend-makers” to transmit trends to common consumers. However, the department stor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wartime control economy that arose due to the Sino-Japanese War. With the passage of the “Law on the Prohibition of Luxuries,” the department stores were prohibited from selling their main product lines of luxury goods. As small-to-medium-size businesses suffered, more voices called for restrictions on department stores. Consequently, Government-general officials, financial representatives, and department store representatives formed De-partment Store Committee to take charge of implementing controls on department stores. Even under the wartime control econom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monopoly capital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control system” for the department stores. Consequently, the business outcomes for the department stores continued to improve even under wartime condi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rationing policy under the Japanese, the department stores adopted the role of supplying necessities to consumers. The Joseon Department Store Cooperative was formed and the department stores formed a supply company that they jointly managed. As the war grew with the expansion of the Pacific War, the transfor-mation of the department stores also accelerated. The original image of department stores as “halls of luxury” that sold high-end luxury goods was changed as department stores became institutional suppliers of daily necessities under the rationing policy. The display function and advertising function that had attracted shoppers to department stores were reoriented to promote the Japanese policies of total mobilization. The previously liberal management philosophy which had chased private profit was replaced by a nationalist management philosophy that placed the public interest first.

한국어

이 논문은 전시통제경제하에서 백화점이 배급통제정책의 전개과정에 어떻게 대응하였으며, 총동원체제 구축에 따라 백화점업계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갔는지를 검토한 연구이다. 1930년대 백화점업계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첨단의 광고와 선전 기법을 활용해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유행을 전파하여 ‘유행제조소’로서의 명성을 높이고 갖가지 영업전술을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해오고 있었다. 그런데 중일전쟁을 계기로 전시통제경제가 전개되면서 여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사치품금지령’이 실시되면서 백화점의 주요 취급상품이던 사치품의 판매가 금지되었고, 중소상업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백화점의 영업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총독부 관료와 재계 대표, 백화점업계 대표로 구성된 백화점위원회가 조직되어 백화점 영업의 통제에 나섰다. 전시통제경제하에서도 총독부 관료와 독점자본간의 유착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된 ‘자치통제’ 시스템이 강고하게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백화점들의 영업성적은 전시기에 들어서도 오히려 개선되고 있었다. 한편, 일제는 배급통제정책의 진전에 따라 백화점에게 생필품 공급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조선백화점조합이 결성되고 백화점들이 공동으로 경영하는 배급회사가 조직되었다. 전쟁의 전개양상이 태평양전쟁으로 확대되면서 백화점의 변모양상은 더욱 가속화하였다. 기존의 고급사치품을 판매하면서 만들어졌던 ‘사치의 전당’이라는 이미지는 배급통제정책을 일선에서 구현하는 일용필수품 배급기관으로 바뀌었고, 백화점이 집객을 위해 가지고 있던 전시기능과 광고기능은 사용 목적이 바뀌어 일제의 총동원정책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기존에 사적 이윤을 추구하는 자유주의 경영이념은 ‘공익’을 우선하는 국가주의 경영이념으로 대체되어 갔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시통제경제하 경영환경의 변화와 백화점업계의 대응
  1. 배급통제정책의 성립과 전개
  2. 업계의 ‘자치통제’와 백화점위원회
  3. 조선백화점조합의 결성과 업계의 대응전술
 Ⅲ. 전시통제 실행기구로서 백화점의 변모
  1. 사치의 전당에서 필수품 배급기관으로
  2. 부르주아 문화생활 보급기관에서 총동원정책 선전기구로
  3. ‘공익우선’의 경영이념과 청년훈련소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오진석 Oh, Jin-Seok. 배재대학교 공공정책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