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Factors of Career Choice in Culture Arts

정재엽, 최명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es of employment and self-employment for culture and arts major.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factors of career choic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of career barri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ture and arts in Gyeonggi Province. For 233 copies, t-test and MANOVA analyz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career choice factors of culture and art major were researched in order of importanc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areer choice factors between the employee and the entrepreneur and between the genders. There w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oice groups and the gender in som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n the future 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career choice of major in culture and arts field.

한국어

본 연구는 문화예술 전공자를 대상으로 진로선택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또한 진로선택의 요인과 진로장벽으로의 외부환경요인이 취업자와 창업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33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전공자의 진로선택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취창업 선택 시 고려하는 진로선택요인을 서열 순으로 확인하였다. 문화예술 전공자들의 취창업그룹간, 성별간에 진로선택요인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도 일부 요인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분야 전공자의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어 향후 진로교육과 상담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취창업교육에 활용이 가능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인지 진로이론
  2.2 진로선택
  2.3 외부 환경 _ 인지된 진로장벽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설정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3 측정문항
 4. 연구결과
  4.1 표본의 특징
  4.2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사
  4.3 연구결과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재엽 Jae-Yeob Jeong.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 최명길 Myeonggil Choi.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