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의 문화예술단체를 매개로 형성된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사례 연구

원문정보

The case study of Promoting Regional Community Activities and Supporting Plans

윤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promoting community activities in life. And analyzing active communities of three case(modugol, noddle, keundul), we deriv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value, mediator, space, and contents. Based on these comm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four basic policies to continue the communities: 1) daily lives based on living culture 2) unity that shares various experiences with residents and produces cultural middle class 3) voluntary participation that develops communities continually 4) developing local community culture by strengthening many types of community culture and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and space. Based on the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specific policy plans to maintain communities successfully. First, for the constant and successful community activities, we should find out and cultivate the mediator who can actually make the community and sustain it steadily. This policy support requires cultural sources, consulting, and analysis as well as needs, community's vision and plan. After the mediator training, space, education, and budget support should be met. Second, the study proposes that mediators should classify into three groups of public institution, artist group, and resistants by leading subject,and apply the appropriate plans. Finally, it suggests that the public agencies should share their cultural mind and interact their projects that are related to promoting communities.

한국어

본 논문은 지역의 생활문화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을 위해 농촌지역에서 문화예술단체를 매개로 형성된 3개의 사례(모두골, 노들, 큰들)를 조사하였다. 각 사례를 통해 공동체가 계속 유지되는데 중요한 요소로는 가치, 매개자, 콘텐츠, 공간, 소통 등이 도출되었다. 특히 생활문화공동체에서 공간, 매개자, 축제 및 동아리 활동은 자유로운 소통을 이루는 도구로 작용하고, 원활한 소통은 역동적인 공동체 활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일상성, 통합성, 자발성, 그리고 지역에 맞는 공동체 문화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유지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원방식은 인력양성을 구심점으로 컨설팅지원, 교육지원, 공간지원, 사업비 지원이 이뤄지는 순차적 지원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공동체에 대한 논의
  1. 공동체의 구성요소
  2. 공동체의 유형
  3. 지역 공동체 지원사업의 내용
 Ⅲ. 연구방법
  1. 용어정의
  2. 조사방법
 Ⅳ. 사례분석 결과
  1. 모두골
  2. 노뜰
  3. 큰들
 Ⅴ. 결론 및 제언
  1. 생활문화공동체 지속 요인
  2. 공동체 활동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영 Yoon, So Young.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융합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