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via Burnout

강미영, 한나영, 배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has increased s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and individual deviation) using burnout(emotional exhaustion, personality disorder,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medium. 350 surveys were sent to employees such as workers from call centers, salesperson from department store, financial worker, hospital staff, flight attendant and workers from customer center who and worked with emotional labor and 300 surveys excluding insincer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which is a type of emotional labor chosen by customer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such as personality disorder and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Second, deep ac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personality disorder and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but did not show any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Third, personality disorder and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among burnout had effe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individual deviation) but emotional exhaustion did not show any effect on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individual devi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한국어

최근 감정노동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소진(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감정노동이 요구되는 콜센터종사자, 백화점판매원, 금융종사자, 병원접점종사자, 호텔접점종사자, 승무원, 고객센터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0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점 종사자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감정노동의 유형인 표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는 모두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은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감정노동
  2.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3. 직무소진과 반생산적과업행동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변수의 측정 및 정의
  3. 자료수집방법 및 분석방법
 Ⅳ. 실증연구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 가설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미영 Kang, Mi-Young. 부경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한나영 Han, Na-Young. 고신대학교 IT경영학과 조교수
  • 배상욱 Bae, Sang-Wook.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