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2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제2차 교육과정기 민족주체성 교육의 시행과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서술내용 분석

원문정보

Enforcement of Education of National Identity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Curriculum and Analysis of Contents of Descript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History Textbook

조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econd curriculum was proclaimed in February 1963. The second curriculum was carried out when educational policy in the early and mid term of Park Chunghee Regime from 1962 to 1973 for 10 years was implemente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uth of national identity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curriculum promulgated in the 2nd curriculum and contents of related documents. Along with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descrip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issued in 1968.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shown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Curriculum description' in the 2nd curriculum focused on realizing and practicing ethnic and national mission. In addition it placed emphasis on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by stating that more than half the classes of history education reflecte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particular 'Curriculum operation guideline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published in June, 1966 stipulated that history shall be set as major subject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education shall focus on improving national identity sense rather than delivering historic fact. Meanwhile, while 'Curriculum', 'Description of Curriculum' and 'Operation guideline' constantly emphasized the education of national identity, history textbook was published according to the second curriculum in 1968.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second curriculum divided into 11 kinds were printed and basically contained the contents of guideline of 'curriculum'. The review on conten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history textbook targeted the description of situation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and 5 ㆍ16 Coup. 11 kinds of textbook regarding the situation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basically described the division after 8ㆍ15 liberation, subsequent pro-trusteeship movement of leftists and idealogical confusion from the situation. In addition the explanation about 5ㆍ16 Coup is in a way of saying about the significance of 4ㆍ19 revolution to overthrow the authoritarian rule of Syngmyn Rhee and stressing the disorder of the second Republic to put emphasis on appropriateness of '5ㆍ16 Coup'. Meanwhile, the best feature among the descrip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he history textbook of the second curriculum is that as years of publishment went by, achievement of Park Chunghee Regime was added to the textbook and that the sections like 'What we have to do' and 'Our mission' were formed in the last part of modern history unit. In short it is very crucial in that history textbook of the second curriculum has been used as the tool to rationalize 5ㆍ16 Coup and to promote political and economic achievement of Park Chunghee Regime based on its rationalization under the cause of educ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other words, history textbook in the second curriculum is not product of transitional regime implemented by state affairs but a textbook bringing the system of history textbook right subsequently and reflecting practical ideology of policy of Park Chunghee Regime.

한국어

제2차 교육과정은 1963년 2월에 공포되었다. 제2차 교육과정기는 1963년부터 1973년까지 10년에 걸친 시기로 박정희 정권 초중반기 교육 정책이 시행된 때였다. 이글에서는 제2차 교육과정기 공포된 교육과정 과 관련 문건의 내용을 고찰하여 민족주체성 교육의 실체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1968년에 발행된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근현대사 서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2차 교육과정기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해설」에서 드 러난 국사교육의 목적은 민족적ㆍ국민적 사명을 깨닫고 실천하는 데 초 점을 맞추고 있었다. 또한 국사교육 수업 시간의 반 이상을 근현대사에 투여하도록 명시함으로써 근현대사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1966 년 6월에 발간된 「민족주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는 국 사를 민족주체성 확립을 위한 중요 교과로 설정하고 국사교육이 역사적 사실 전달보다 민족적 주체의식 함양에 힘써야 한다고 명시하였다. 한편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해설」, 그리고 「운영지침」이 지속적으 로 민주주체성 교육을 강조하는 가운데 1968년 드디어 제2차 교육과정 에 따른 국사교과서가 발행되었다. 제2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는 모 두 11종으로 발행되었으며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의 지도 내용을 준수 하고 있었다.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내용 검토는 해방직후 상황과 5ㆍ16군사정변에 대한 서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방직후 상황에 대해서는 11종 교과서 모두 8ㆍ15해방 이후 분단과 뒤이은 좌익의 찬탁운동, 그리고 이를 계기 로 한 이념적 혼란 구도를 기본적인 서술 태도로 하고 있다. 또한 5ㆍ16 군사정변에 대한 서술은 이승만 독재와 이를 타도하기 위한 4ㆍ19혁명 의 의의 언급하면서도 뒤이은 제2공화국의 난맥상을 부각시켜 결국 ‘5ㆍ 16혁명’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서술 태도를 갖추고 있었다. 한편 제2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근현대사 서술 중 가장 특징적 인 것은 발행년을 거듭 할수록 박정희 정권의 치적사항이 교과서에 추기 되고 있다는 점과 현대사 단원 맨 마지막에 ‘우리의 할 일’, ‘우리의 사명’ 등의 절이 편성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요컨대 제2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는 민족주체성 교육이라는 명분 아래 5ㆍ16군사정변을 합리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박정희 정권의 정치적 ㆍ경제적 치적을 선전하는 도구로 이용되었다. 즉 제2차 교육과정기 국 사교과서는 국정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적 체제의 산물이 아니라 이후 국 사교과서 체제의 기틀을 잡고 실질적인 박정희 정권의 정책이념이 반영 된 교과서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제2차 교육과정의 수립과 민족주체성 교육의 시행
 Ⅲ. 근현대사 강화 방침과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서술 체제
 Ⅳ. 민족주체성 교육에 따른 근대현대사 서술 내용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건 Cho, Gun.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