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2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고대사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서술 검토

원문정보

Review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and the Korean History Textbook Descriptions during the Second School Curriculum Period

신선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dissertation accounts for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contents of the Second School Curriculum Period by reviewing its courses, editing, operational materials and descriptions in textbook. This Period still set as its objective the eradication of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which had been an issue during the previous period, and at the same time, the Period was the time when the government has begun to control over education contents. This control was to legitimize the rule of the military government by using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as a political instrument to comply with the objectives to highlight national identity and anti-communism. Although the national identity pursued by the academics was arguably to be a research theme on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from a mere academic point of view without direct relations to the actual politics, it was a fact that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a way to comply with the intentions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meantime, while in terms of the periodization in Korean history, it might be thought that the ideology of national identity was underscored in the ancient history and that of anti-communism stood out in the description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t is found by this research that the propensity to anti-communism was also shown in the ancient history descriptions. Namely, it was found in the refuting descriptions against research performance of North Korean academics at the same period. It suggests that the emphasis on national identity and anti-communism going throughout the Second School Curriculum Period was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descriptions of all the periods of Korean history.

한국어

본고에서는 제2차 교육과정기 교육내용의 특징을 교육과정과 편수 및 운영자료, 그리고 교과서 서술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이 전 시기의 과제이기도 했던 식민사관의 탈피를 여전히 목표로 삼았으며, 동시에 정부로부터의 교육내용 통제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군사정부의 통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국사교육이 정치도구 화되면서 민족주체성과 반공주의의 강조라는 목표에 부합되는 방향으 로의 통제였다. 물론 학계에서 추구한 민족주체성은 현실 정치와는 직접 관계없이 학문적 견지에서 민족 주체의식의 문제를 연구한 것이라고는 하나 군사정부의 의도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도 사실이 다. 한편 한국사의 시대구분 중 민족주체성의 경우 고대사, 반공주의의 경 우 근현대사 서술을 통해 그 이념이 부각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본고를 통해 고대사에서도 역시 반공주의적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동시기 북한학계의 연구성과를 염두에 두고 그에 대한 반박의 입장에 서 서술한 것이 그것이다. 제2차 교육과정기를 관통하는 민족주체성과 반공주의의 강조는 한국사의 전 시기 서술에 일관되게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교육과정 및 편수·운영 자료의 고대사 서술 검토
 Ⅲ.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분석
 Ⅳ. 고대사 교육내용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신선혜 Sin, Sun-Hye.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