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Heuristic Evaluation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 Focused on Location-Based Service Type Apps
초록
영어
Background Most of the researches on augmented reality have focused on core technology to realize it or contents development so far. Recently,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interface of augmented reality is being conducted, but the evaluation is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ontents, and also in the reality, there are not enough systematic evaluation techniques that take the features of the media to embody augmented reality, such as mobility,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on the interface design usability of the applicatio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needs more discussion compared to the researches on the interface design usability of the existing media. Methods In this study, for specification of the item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using the mobile phones for educational purposes, operationalization of the usability evaluation item including affordance and presence was tried and analyzed by professionals, and the checklist to evaluate basic usability assessment was deducted and applied to heuristic evaluation. Result As the heuristic evaluation result, the problems of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interactive elements being overlapped wa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matter with location-based applications. It's the problem of usability which is commonly found among many location-based service type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and the matter of overlapped location that occurs when information is arrang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onclusion Different from the entity recognition method used in a fixed environment, the location-based service method frequently comes to face the situation of keeping moving with a mobile device in the hand, so the background of the reality on the screen continues to change, and because of this,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needs to become easily acknowledgeable in diverse situations. Accordingly, as for applications of location-based service method, legibility of information becomes an important factor of usability, and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for design.
한국어
연구배경 지금까지 증강현실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증강현실을 실현하기 위한 원천 기술이나 콘텐츠 개발과 관련된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최근에 이르러 증강현실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콘텐츠의 유형별 특성이 반영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동성 등 증강현실 구현 미디어의 특성이 고려된 체계화된 평가기법 역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증강현실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성 관련 연구에 비해 아직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하고 있는 부분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모바일 증강현실의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어포던스와 프레젠스를 포함하는 사용성 평가항목의 조작화를 시도하여 전문가 분석을 거쳐 기초적인 사용성 평가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이를 휴리스틱 평가에 적용시켰다. 연구결과 휴리스틱 평가 결과, 화면 상의 정보나 상호작용 요소들이 서로 겹치는 문제들이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는 많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식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사용성의 문제로, 3차원 공간에 정보가 배열될 때 발생하는 위치의 중복에 관한 문제이다. 결론 고정된 환경에서 사용하게 되는 개체 인식 방식과 달리 위치 기반 서비스 방식은 모바일 기기를 들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화면 상의 실세계 배경이 계속 변하게 되며 이 때문에 화면 상의 정보를 다양한 상황 하에서도 인지하기 쉽도록 해줘야 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정보의 가독성이 사용성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디자인 시에도 이런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증강현실의 특성
2-2. 증강현실의 사용성
2-3. 모바일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분류
3. 휴리스틱 평가
3-1. 평가항목 도출
3-2.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