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교육 정책의 국제비교를 통한 한국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교육지원 방안

원문정보

Programs to Educationally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김향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real state of korean society is that several types of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family increase. Thus, active multi education is implemented in order to support these families. However, when there is disabilit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difficulties that not only the family but the children go through are raised as a serious problem,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is problem has been emerged as a main interest of the korean society. Before long, multi-cultural society will come undoubtedly in S. Korea and preparations for this are now proceeding. However, it is true that it's hard to find proper interest and considerations to support grow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can be said that for the support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trends of the measures of educational support can be found in the context of supporting genera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current study made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social views with which multicultural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focused on cases of America, Australia, Germany and Japan. And it aims to propose programs of educa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disabled children of our country through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policy in rela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leading countries. For the present study, we mainly made use of literature review including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e, statistical data, policy reports etc. Suggestions resulted from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intervention is required through the early dete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Each country's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prepared strategies to support for their early adaptation. For this, persons in charge of the responsible public institution focused on the local multi- cultural center should be assigned as case managers, and inform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provided actively to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s so that their children with a possibility of developmental delay can be identified and intervened at an early stage, and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promoted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them. Second, s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seen in each country's educational polic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t is essential to suppor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s families for an educational effect on them. It is necessary to support funds for the purpose of economic s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systematic and integrated general support systems are required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supported effectively in the aspects of counseling, medical care, welfare, and educatio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ill be able to play a key role. Fourth, each nation is conducting a variety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migrants' social integration. It can be seen that for counseling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nd cooperation between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ducationally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conducted essentially.

한국어

최근 한국사회는 여러 형태의 다인종․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장애이동의 경우 그 가족은 물론 아동이 겪는 어려움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교육 지원은 이제 한국사 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머지않은 장래에 한국은 분명히 다문화 사회가 도래하게 될 것이고 이를 위한 준비들이 진행되고 있 다. 그러나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장애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심과 배려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이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에 대한 지원 역시 일반 다문화가정 아동의 지원 맥락에서 교육지원 방안 의 흐름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미국, 호주,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어온 역사적, 사회적 관점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요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장애아동 교육지원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 다 문화가정의 장애아동 교육지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 문화 관련 선행연구, 통계자료, 정책 보고서 등 문헌 조사를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장애자녀의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중재가 필요하다. 각국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장애아동 교육지원은 아동의 조기적응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책임 있는 공공기관의 담당자를 사례 관리자로 두고 발달지체 위험 아동이 조기발견과 중재가 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의 부모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과 상담, 관련 교육기관을 홍보하고 연계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안정이 장애자녀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 각국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정책에서 볼 수 있듯이 장애아동에 대 한 교육효과를 위해서는 장애아동가족에 대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안정과 장애아 동 교육을 위한 비용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지원을 위한 체계적이고 단일화 된 종합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의 장애자녀에 대한 상담, 의료, 복지,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각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그 중심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각 국은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해 다양한 다문화이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교육 지원을 위해 특수교사와 부모와의 상담,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다 문화 이해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본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국가별 다문화교육 정책 비교
  2.1 미국
  2.2 호주
  2.3 독일
  2.4 일본
 Ⅲ. 각국 다문화교육 정책이 한국의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교육지원에 대한 시사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향지 Hyang-Ji Kim. 위덕대학교 특수교육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