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소직원의 감정행위가 조직문화와 조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ct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to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for Employees Working in Public Health

김종두, 안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mployees working in public health practices that emotion is expressed when dealing with the departure of the residents began to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lso it presents what the culture of the most desirabl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the cultural development of better organization than by such a chief priest oriented culture. In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was carried out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was verifi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conducted a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using the IBM SPSS & AMOS 22.0 program.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 tool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causality, it was mediated effects verification. As a result, Surface act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But it has in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Deep act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ration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Rational culture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it has in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Whereas Group culture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but it has in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both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Also among emotional acting,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intermediary role. Especially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t has stro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It shows that the employee who working in public health practices is communicate with residents with deep acting rather than surface acting. It is mor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So, employees working in public health are refer to this result. And I hope to It helps to they have contributions for organization and positive effects through deep acting in emotional acting.

한국어

보건소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직 및 종사자들이 지역주민들과 응대할 때 표출되는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시작으로 가장 바람직한 유형의 조직문화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그러한 조직문화를 지향함으로써 보다 나은 조직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SPSS & AMO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표본의 특성 파악 및 설문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신뢰성 계수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도구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인과관계에 따른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과 조직효율성을 살펴보면, 표면행위는 직무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직무만족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행위는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있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정노동과 조직문화에서는 합리문화와 위계문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발문화와 집단문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내면행위에 있어서는 집단문화,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문화와 조직효율성에서는 합리문화와 집단문화에서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직무몰입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개발문화와 위계문화는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과 직무몰입, 직무만족 사이에 조직문화의 유형에서 합리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집단문화에서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서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의 시사점은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감정노동에 있어 표면행위보다는 내면행위를 통해 지역주민들과 소통하는 것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소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직 및 종사자가 감정노동의 내면행위가 조직에 대한 기여와 긍정적인 기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감정노동
  2. 조직문화
  3. 조직효율성
 Ⅲ. 연구 설계 및 연구가설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1. 인구통계학적 분석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성 검증
 Ⅴ.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두 Kim, Jong Doo. 가천대학교 길병원 암관리사업부
  • 안재선 Ahn, Jae Sun. 가천대학교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