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부모 가정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관계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이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rt therapy on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and examine its effect on the client's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Subject of the study is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This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a 60-minute session, which was held twice a week for total 16 sessions from October 8 to December 8, 2015. As measuring tool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cale by,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ERC(The Emotional Regulation Checklist) by Shields and Cicchetti (1997)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Only the peer relationship scale in Social Skills Scale for children and youth by Gresham and Elliott(1990), and Caldarella and Merrell(1997) was conducted for pre/post testing. Also,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was qualitatively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positive change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trol abilities,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Second, children displayed positive changes in the initiative, cooperation and sympathy in the peer relationship domain with respect to the qualitative effect of KSD test, negative emotion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peer relationship.

한국어

본 연구는 한 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부모 가정 아동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10월 8일부터 12월 8일까지, 주 2회, 60분씩 총 16회기를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Shields와 Cicchetti(1997) 정서 조절 능력 척도(The Emotional Regulation Checklist : ERC)를 유아를 대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한 여은진(2009)의 유아 정서 조절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 다. Caldarella과 Merrell(1997)의 아동·청소년의 사회 기술 척도(Social Skills Scale)문항 중에서 또래 관계 척도만을 사전· 사후 실시하였으며, 동적 학교 생활화 그림(KSD)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또래 관계를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적 정서 조절 능력, 부적 정서 조절 능력의 긍정적 변화로 정서 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또래 관계 영역에서 주도성, 협동· 공감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동적학교생활화그림(KSD)검사의 질적 효과면에서 또래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도구
  4. 미술치료 프로그램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미술 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2. 미술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3. 회기별 진행 과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주 Lee, Eun Joo.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미술치료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