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해방 이후 한국사 교과서의 전주화약 서술의 변천

원문정보

Change in explanation for Jeonju Agreement(全州和約) in Korea History Textbooks after Liberation

조성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37집 2016.12 pp.319-3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current flow of trying to designate Jeonju Agreement date as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day,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Jeonju Agreement date is meaningful enough to be designated as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day by investigating on the change in explanation for Jeonju Agreement explanation in Korea history textbooks after liberation. The description of Jeonju Agreement in textbooks reflects the research level where investigation about the agreement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The author reveals through this manuscript that until the 4th curriculum period,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Jeonju Agreement at all, and there was explanation only after the 5th curriculum period. Regarding the backgournd of Jeonju Agreement, until the 2nd curriculum period, it depicted about intervention of Cheong(Chinese) army and government attack, and after the 3rd curriculum period, description that Donghak Peasants, who showed weak state about government's attack, has compromised with the government has been deleted. There was no description regarding self-government body of Jeonlado and maladministration reformation proposal until 2nd curriculum period, and these are included from 3rd curriculum period. Yet, the features of self-government body has depicted as organization managing public order and local administration and as subsidiary 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curriculum periods. Regarding withdrawal of Donghak peasants after Jeonju agreement,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word 'withdrawal' and 'dispersal' were both used, which has been unified into 'dispersal' during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After the 5th curriculum period, the depiction of Donghak peasants establishing self-government body and executing reformation proposal after Jeonju Agreement has been described without using the word 'withdrawal' or 'dispersal', but the explanation emphasize the meaning of 'withdrawal' rather than 'dispersal'. The opinion of promoting Jeonju Agreement date as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day by the parties of government and the people is not reflected clearly in textbooks. Furthermore, as the word 'revolution' is included in the name for memorial day, it is highly doubtful if the government and the party is revolutionary.

한국어

본 연구는 전주화약일을 동학농민혁명기념일로 제정하려는 현재의 흐름 속에서 전주화약일이 동학농민혁명기념일로 제정될 수 있을 만큼 의미있는 날인가를 살펴볼 목적으로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전주화약 서술의 변천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전주화약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형편 속에서 전주화약에 대한 교과서의 서술은 해당 시기의 연구 수준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고를 통해 필자가 밝힌 것은 제4차 교육과정기까지는 전주화약의 서술이 전혀 없었고, 제5차 교육과정 이후 전주화약이 서술되기 시작하였다. 전주화약의 배경에 대해서는 제2차 교육과정기까지는 청군의 개입과 정부군의 공세를 들었으며, 제3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정부군의 공세에 약세를 보인 동학농민군이 정부와 타협하였다는 서술은 삭제되었다. 제2차 교육과정기까지는 집강소와 폐정개혁안에 대한 서술이 전혀 없으나 제3차 교육정부터 이를 서술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집강소의 성격에 대해서는 교육과정기별로 치안과 지방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서술한 것과 지방행정의 보조기관으로서 서술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전주화약 이후 동학농민군의 전주 철수에 대해서는 제2차 교육과정기에는 철수와 해산이라는 용어가 혼용되었으나 제3차 교육과정과 제4차 교육과정기에는 해산이라는 용어로 통일되었으며, 제5차 교육과정기 이후에는 제5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해산 혹은 철수라는 용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은 채 전주화약 이후 동학농민군이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개혁안을 실천에 옮겼다는 취지로 서술하여 해산이 아닌 철수라는 의미를 강조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전주화약일을 동학농민혁명기념일로 추진하고자 하는 세력들의 주장, 즉 관민상화의 주장이 교과서에 명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기념일의 명칭에 ‘혁명’이 들어갔다는 점에서 관민상화가 혁명성을 지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주화약에 대한 연구사 정리
 Ⅲ. 교육과정별 국사교과서의 전주화약 서술
  1. 교수요목기 ∼제2차 교육과정기의 서술
  2. 제3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기의 서술
  3. 제7차 교육과정기∼2009 수정교육과정기의 서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운 Cho, Seong Woon.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